제품 리뷰 채널로
수익화한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 클릭


소박한 김씨

7/8 유튜브 쇼핑 스타 액셀러레이터 참여 후기

1. 본 행사는 유튜브 쇼핑으로 높은 GMV를 올리는 크리에이터 중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하는 소수를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밝힘. 즉, 유튜브 쇼핑의 향후 방향성은 불펌 짜깁기 양산형이 아닌 소비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해야 한다는 것에 의심할 여지는 없음.

2. 이름만 들어도 다들 아시는 수십~수백만 크리에이터 분들도 대거 참석하셔서 고작 3만 따리인 내가 여기 와도 되나? 턱걸이로 들어왔나? 싶기는 했음.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채널 별로 매출 스크리닝 했을 때 내 채널도 포함된 거니까 뿌듯하기도 했음. 참고로 내 채널의 최근 3개월 매출은 3억 1천 6백만 원임. 이것보다 높은데 선정이 안 되었다면 진정성에서 탈락했다는 뜻

3. 유튜브 알고리즘 퀴즈 했는데 1등해서 머그컵 선물 받음ㅋㅋ 채널명 안 밝히고 '1234'로 했는데 사람들이 '쟨 뭐야?'라고 생각했을 듯. 아는 사람도 없었고ㅎㅎ

4. 유튜브 쇼핑 측은 쿠팡 외에 올리브영 지그재그 카페24 등 다양한 플랫폼을 입점 시키면서 카테고리를 넓히고 있음. 특히 패션/뷰티 쪽이 확대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마진율이 높은 만큼 크리에이터에게 배분하는 수익률도 높은 편. 하지만 내 카테고리는 아니니까 나는 패스. 쿠팡은 계절성 키워드가 성과가 좋았다고 분석함. 지그재그는 패션 외 리빙 IT 도 확대 기대.

5. 플랫폼에서 고성과 크리에이터에게 관심이 많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창작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다양한 협업 루트를 모색하고 있다고 느낌.

6. 유튜브 쇼핑 스타로 선정되면 쏠쏠한 보너스 혜택이 있음. 구체적인 금액은 대외비이지만 솔깃하게 느껴질 정도라 앞으로 열심히 하기로 함.

7. 질문 중에서 초보자에게 도움될만한 내용
- 유튜브 쇼핑 태그 자체는 알고리즘에 영향 주지 않음
- 대가성 문구 표기는 국내 법령과 유튜브 규정이 충돌하는 경우 보수적인 선택을 권장함

3 months ago | [YT] | 11

소박한 김씨

유튜브도 결국 사업입니다
근데 투자는 1도 하기 싫고
무조건 돈 안 쓰는
짜깁기 방식만 하겠다고 정해 놓으면
절대 성과 못 냅니다

애초에 짜깁기냐 직촬이냐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것부터 잘못됐죠
영상 한 편은 짜깁기하고
한 편은 직촬해도 되잖아요?

또 기획은 AI가 다 해준다고 믿는데
왜 드라마 쇼츠 보다보면 댓글에 꼭 그런 말 달리죠
"캐릭터의 수준은 작가의 지능을 넘지 못한다"

AI도 똑같습니다
"AI가 만드는 결과물의 수준은 사용자의 지능을 넘지 못한다"
AI가 만들어 낸 게 똥인지 된장인지는
구분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기획을 AI가 뚝딱??? ㅋㅋ
퀄리티 100의 기획을 하는 사람이
평소에는 100시간 걸리는데
AI 쓰면 100시간 걸릴 거 50시간 걸리는 등
작업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게 목적입니다
혹은 관점을 재검토 받을 수 있겠죠

그런데 평소에 10 수준의 퀄리티 밖에 못 내면서
AI 쓰면 100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면...

애초에 왜 문의를 주신거죠?
AI한테 "내돈내산 콘텐츠가 꼭 필요해?"
라고 물어봤으면 되잖아요

5 months ago (edited) | [YT] | 13

소박한 김씨

"예상 수익"이 10배 오차 날 수 있다고해서
애드센스 지급내역 인증합니다

월 5천 달러정도니까 환율에 따라 다르지만
700만 원 안팎으로 벌고요
여기에 브랜디드 콘텐츠 수익 +@
알리익스프레스 +@
쿠팡파트너스 +@까지 정산 받습니다

예상 수익 10배 씩 차이 많이나는 채널은
보통 시청자 반응도는 낮은데
조회수만 뻥튀기 된 양산형 채널이라 그렇습니다
제대로 운영되는 채널은 그렇게 오차 크지않아요

5 months ago (edited) | [Y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