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돈에 관한 이야기!
돈과 경제, 부동산, 미래산업 그리고 지정학 까지!
부동산분석왕 TV 을 통해
경제와 역사를 공부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부동산분석왕은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모든이에게
경제와 돈, 부동산 투자에 대한 모든것을
본질에 입각해 재미있고 쉽게 이해시켜 드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좌, 우 편향되지 않은 객관적인 Fact에 입각해
최대한의 객관성을 갖춘 중도의 시각에서 이야기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꾸욱 눌러주세요~!
부동산분석왕 TV
H e l l o
2025
9 months ago | [YT] | 12
View 0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역전세 사태 전개 과정 말씀드렸죠.
1. 감액갱신
2. 역월세 갱신
3. 갱신안하고 나가면 신규임대
4. 신규임대 불가하면 DSR 배제 전세금반환목적 LTV 대출
5. LTV 이자 갚을돈 마저 없으면 "시세보다 싼" "사정상 급매"
이렇게 전개됩니다. 생각보다 급매 많이 안나올거에요
2 years ago (edited) | [YT] | 34
View 4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역전세대출 전격시행.
급한불부터 끄면서 전세가가 오를때까지 연착륙유도.
실제로 전세가도 슬~금~슬~~금 올라가긴 함.
하지만 전세대출이자가 4% 재진입이라 부담이 여전히 큰 상황.
집주인들이 DSR 없이 대출 받겠지만, 원리금 상환 부담되는 사람도 있을예정.
아~~~주 간혹 시세보다 조금 낮은 급매 단지별로 평균 0.**개 ~ 1개 정도 나올예정.
고로 관심 아파트 여러단지를 두루두루 봐야함.
2 years ago (edited) | [YT] | 24
View 0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전세대출이 사라져야해요.
2 years ago | [YT] | 31
View 2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결혼이 늦는 이유? 집값 영향이 크다 작다?
2 years ago | [YT] | 23
View 11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여러분!
엔화는 사도되지만
일본계열 금융사에서 판촉해도
엔화대출 싸다고 대출 받지마세요.
의사분들 건물매수하시는 분들
이 대출로 큰 낭패봤었습니다.
영상속에서 알려드렸죠? 왜 그런지 아시죠?
2 years ago (edited) | [YT] | 26
View 2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사실.. 집 가지고 있는 사람도 무지성으로 집값 상승하면 짜증나요.
왜냐구요? 나는 일찌감치 사서 가~만히 내버려두고
살기좋아서 그냥 저냥 사는건데.
누가 자꾸 갭투해서 매매가를 올려놔요.
유행타서 매수세 들어오고 쭉쭉올라가요.
당연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 올라가죠?
그러면 일단 실거주자 입장에서 세금 + 준조세 부담 커지죠.
세금 부담 엄청나서 부득이 이사가는경우도 생겨요.
안 그럴것 같죠? 이제 막 은퇴한 60대 어르신들이 자주하는 이야기입니다.
한창 떡상할 때 어떤 중산층 동네 아파트에 플랜카드 걸려있는 것도 본 걸요.
>
만약 갈아타려고 한다. 내것만 오르는게 아니라 동반상승하는 상황이라
웃긴게 갈아타는 비용도 높아져요.
생애주기동안 버는것 최고 max 찍는것도 한시적인데
DSR까지 걸려서 대출 받기도 쉽지않죠.
그냥 그림의 떡. 쉽게 옮기지도 못하는 상황.
적당히 올라가야 옮겨가는 성취욕도 생기고 재미도 있고하지
이렇게 되면 집 한 번 산걸로 그냥 끝.
자칫하면 2~30년 열심히 시드를 모아도 은행에 이자 내다보면
모은거 없이 영구 거주를 해야하는 상황... 아이러니.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산가격이 상승하니 기분은 좋아지죠.
어깨 뽕은 들어가요. 근데 곰곰히 생각해보면 썩 기분좋은일이 아니에요.
>
실거주안하고 임대로 돌리겠다?
월세로 돌려도 다 그 세금 매꾸는데 들어가요.
이게 다 의미가 있는것일까.
물론 세금과 대출이자는 거들뿐 자본이득이 주이기에
그 것으로 버티는 거지만... 인구감소가 본격 시작되는 것인지
갈수록 세도 잘 안맞춰지는 느낌... 갑자기 드는 현타
>
이쯤되면 다시하번 해보는 생각
지난 시기 집 값 상승 목적이 어디있었냐면요.
보유세라니깐요. 합법적 착취... 이제 아시겠지요?
팔지도 사지도 못하게 그냥 묶어두고
투구게마냥... 쭙쭙 짜내는 용도.
>
요즘 나오는 회사 구조조정 한마디에
벌벌벌 떨 4~50대 직장인들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직장 점심시간에 집값 어쨌다저쨌다 한마디도 안할걸요.
자산이 어쩌고저쩌고 분위기 흐린사람
인사팀 보고서에 들어갔을거에요. 다 듣고 있죠.
작년 부터 계속 말씀드리죠.
소득을 보존해야하는 시대입니다.
>
무튼 이게 다 뭐 때문이다?
그 재앙 한도풀린 전세대출.
갈수록 결혼안하고... 애도 못낳는거...
으휴. 왜 겠습니까? 잘 아시잖아요?
전세대출에 불쌍한 세입자를 위한 단어를 넣으니
무적의 정책이 되어버린 미친 현실.
실상은 꿍꿍이가 있었던 음흉한 짓거리.
심지어 나라곳간이 이를 보증해주니
은행은 그냥 막 대출 내주고
건축업자들은 바지사장 내세워서 꺼억
덕분에 보증 기금은 고갈...
대안은 DSR풀어줄테니 집주인들이 방어해라
어디서부터 고리를 끊어내야하는지
지금 정부도 골치가 아플겁니다.
>
아.. 이 정도로 거품이 쌓인 걸
나중에 자식들이 상속세 내고 받아 갈수 있으려나 모르겠어요?
그것도 큰 문제.
>
오랫동안 투자의 패러다임이 부동산보다는
해외 주식 / 자산 투자로 갈듯. 그냥 일본화네.
일본 부동산이 침체된건
말그대로 부동산에 재미가 없어서 ...
https://youtu.be/ss2zxZqtTgY
이 (멤버쉽) 영상에 인사이트가 있을수도.
유튜브 생태계에서 코로나 시기 서학개미니 뭐니 유행타기도 전
2019년 부터 환율공부 하셔라 한 사람이 저인거 아시죠?
2 years ago (edited) | [YT] | 18
View 4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역전세도 역전세지만]
아파트 전세라는게 아이들 학교와도 관련된 문제기 때문에 쉽게 옮길 수 있는 부분은 아닙니다. 잘 아실겁니다. 임차인의 갱신계약 거절도 많겠지만, 반면에 아이들 학교때문에 부득불 전세를 인질잡히고(?!) 역월세 갱신계약도 많아 질 것으로 보입니다.
역월세 갱신계약, 즉 세입자가 현 시세에 맞게 감액갱신계약을 요청하면, 내줄 돈이 없는 집주인들이 차액만큼은 은행이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월세를 주며 갱신계약을 맺는 것이죠. 임차인도 애들 학교 잘 다니고 있는데 갑자기 나가기 불편하고, 임대인도 새로운 임차인을 맞추는데 하세월 보낼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세 자체가 사금융이기에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주담대도 풀어주고, 금리 동결도 유지되고, 역월세도 있기에 생각보다 스무스하게 지나갈수 있습니다. 급하게 팔아야 될 정도로 문제되는 건 단 몇 집에 그칠 수 있으니, 모니터링 계속 하시면서 급매 겟 기회를 득하시길 바랄게요.
한편, 누차 전세대출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원희룡 장관도 전세대출 규제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는군요. 금융카르텔이 공고하기에 실제적으로 과단성 있게 규제 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지만 모든 악의 근원은 리미트 없이 풀어준 전세대출입니다.
여러분들중 많은 분들이 그간 전세대출이 약자를 위한 정책인 줄 알았죠? 절대~~~~~~~~NONONO, 결과를 까놓고 보니... 세입자를 위한 정책이 절대 아니라는거 이제 아시겠죠?
기금이 아닌 금융상품으로 무제한으로 풀어준 건 누굴까?
그 재앙의 씨앗, 악의 근원, 초과세수 어디로갔을까? north?
2 years ago (edited) | [YT] | 34
View 2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만약 매수 대기자분들이 계시다면 이 글을 보세요.]
네이버 부동산 관심매물을 계속 팔로우 해보셔야하는데 지금 고가 매물은 애시당초 안팔렸던 높은가격 매물이 위기 전 부터 계속 올라와 있었던거 입니다.
갑자기 오랜만에 물건이나 알아볼까 네이버 부동산 켜신 분들입장에서는 어 뭐야 값이 올랐네 이럴수도 있겠지만 그냥 계속 저 가격이었던 매물입니다.
지금도 그냥 팔리나 안팔리나 과거부터 지금까지 배짱가격 부리는 매물 이지요. 그러니 너무 비싸서 지금도 안팔리고 호가만 살아 있지요.
네이버 부동산 관심지역 관심매물을 오랫동안 팔로우하시면
저게 뭔지 보입니다. 부동산에 문의를 하면 더 확실하겠죠.
그런데.
중간중간 싸게 거래된 건 그 고가 매물 속 알짜같이 나온 급 매물입니다. 그런 걸 취득할 수 있었던건 올 겨울이었습니다.
갑자기 오른 금리로 세입자가 중도에 나가면서 역전세 때매 파는 사람 더 싸질까 겁나서파는사람 사업쪼들려서파는사람 다양한 이유가 있었거든요.
위기를 감지하기 어려웠던 1년 전 영상에서도 분명 말씀을 드렸는데요. 급매물들 때문에 K형 가격 형성될거라고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잘 지켜보셔야합니다. 특히 전세금리가 오르는지 내리는지 역전세가 발생할 환경이 조성 되는지 아니면 역전세없이 낮아진 전세대출 금리 덕에 다시 전세가가 오르는지 중요한 변수입니다.
2학기 준비하는 세입자들과 임대인간의
가격 눈치싸움 다시 시작.
자 어떻게 진행될까? 생각한번 해볼까요?
case 1. 21년 계약해 입주해있는 세입자. 낮아진 보증금 때매 계약만기 gg치고 역전세 스트레스를 받느니 그냥 갱신해버리는 경우도 있을거구요. 대신 2년전 계약당시 고가 전세금액 대비해서 현 시세에 맞게 감액 갱신할 겁니다. 집주인이 고스란히 내어주시는 분이면 OK 문제없음
case 2. 또 일부는 21년 대비 낮아진 보증금에 이사가기를 각오하고 계약만기 때만을 기다리고 재계약안하고 나가려는 경우도 있을겁니다. 물론 이 경우도 전세금 고스란히 내어주면 OK 문제없음
case 3. 근데 만약 세입자가 갱신안하고 나간다고 통보했는데 집주인은 전세금중 일부를 어딘가 홀라당 어디에 써버려서 돈을 못내준다? No way! 이게 문제입니다. 뾰족한 수가 없기에 집주인들 DSR까지 풀어줘가며 부족한 돈은 주담대 (전세퇴거자금용)를 받아 내주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OK 좋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대출 내서 일단 세입자들 돈을 꾸역꾸역 내줬는데...
다행이 후속전세 맞추고 근저당 대출이자 감당한다면 무방하나 그렇지 않다면? 반전세로 돌리겠죠? 또는 추가 대출이 안나오는 경우라면? 역전세 감당 못하고 심리적으로 질려버린 몇몇 사람들이 매매로 내놓게 됩니다. 주로 다주택자 물건 위주.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는 않을겁니다. 그러나 분명히 있습니다.
간~간히 급매 나올듯.
이번 겨울에 놓치신 분들은 급매 겟 기회가 되시길
단, 전세 내놓는 사람들은 전세가 오르기를 기다리는 중이라 전세금리 하락 내지는 전세가 상승 추이를 미시적으로 살피셔야 한다는 말씀드립니다.
중장기 적으로 매수의향이 있으시다면 관심단지 어떤 매물 몇층 몇호가 얼마에 나온건지 정도는 계속 관심을 가지고 추적하셔야합니다.
유튜브 신문 ㅈ문가말은 그냥 거들뿐 실질적인 답은 현장에 있습니다. 매수자 스스로 미시적 관점에서 항시 모니터링하셔야합니다. 솔직히 말씀드리죠. ㅈ문가들은 걍 국토부 부동산원 서울시 후행성 그래프로 말하는 사람들이라 경향만 알지 지금 현상황 현 시점 어떤단지 어떤매물이 있어왔는지 그 미시적 시장사정이 어떤지 잘 몰라요.
시장을 잘 알아야하는건 오직 나 하나뿐입니다. 네이버부동산 뜨문뜨문 켜면 잘 모릅니다. 네이버부동산 매물이 뭐있는지 동호수까지 파악하세요. 살 마음 있다면 팔로우 당장시작하세요.
아시겠죠? 관심 단지의 매매가 전세가 변동 추이 계속 팔로우하세요.
참고로 주식으로 비유하자면 그래프만으로 분석 하면 필망합니다. 그래프가 우상향이라 오를줄 알았는데 사자마자 뚝떨어지고 반대로 하향그래프라 이쯤되면 반등주겠지 사도 뚝떨어지고 ㅋㅋ 진짜 잘하는 사람들은 실시간 호가창을 봅니다.
흐름을 멀리서 지켜보는게 아니라 실시간으로 느끼고 있어야된다는 말씀
아무튼... 이 사단 난거 전부 전세대출 한도 풀고 기금이 아닌 은행한테 줘서 개꿀 먹거리사업만든... 금융세력 카르텔때문입니다. 못없애면 전세대출 DSR이라도 적용하길. 이대로 가다간 서로가 서로를 물어뜯는 착취만 남고. 공멸임. 결혼을 왜 안하고 애를 왜 못낳는데. 그 중심에는 전세대출.
2 years ago (edited) | [YT] | 47
View 9 replies
부동산분석왕 TV
역전세 한동안 심각한 문제는 맞습니다.
결국 전세반환목적 한정 주담대 dsr 풀어주긴하는군요.
부동산에 자산이 쏠려있어... 어쩔 수 없네요.
일종의 대마불사라 할까...
딜레마 상황인거죠. 마땅한 선택지가 없네요.
임대인 안터주면 세입자들이 죽는데...
일단 임대인에게 숨통을 열어주고 책임을 부여했으니
임대인 착임으로 대출갚아서 내도록 하고
그다음 세가 맞춰지든 안맞춰지든
임대인 각자 생존은 알아서 해야 될 문제긴 하네요.
임대인 이자 부담분은 월세로 전가되겠군요.
전세로든 월세로든 맞춰져야
임대인들도 살길이 보일텐데
급매 물건 드물게 나올듯.
전세대출 이게 사라지던 축소되어야
부동산 전세든 월세든 매매든
나라자체가 안정이 되는데 쉽지않네요.
솔직한 제 생각입니다. 거지같은거 맞아요.
2 years ago (edited) | [YT] | 27
View 7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