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학부모 6명 중 1명(16%)이 코로나19나 독감 외 다른 질병 예방접종을 자녀에게 건너뛰거나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워싱턴포스트와 비영리 보건정책단체 KFF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백인 부모, 공화당 성향, 종교적 신념이 강한 부모, 홈스쿨링을 하는 가정에서 예방접종을 피하는 비율이 특히 높았다. 홈스쿨링 가정의 46%, 종교적 신념이 강한 부모의 36%가 접종을 미루거나 건너뛰었다. 공화당 지지층은 민주당 지지층보다 2배 가까이 높은 22%가 접종을 피했으며, 백인 부모는 아시아계 부모(5%)보다 약 4배 높은 19%가 접종을 미룬 것으로 조사됐다.
예방접종률도 점차 하락하는 추세다. 2024~2025학년도 유치원생의 홍역·볼거리·풍진(MMR)과 소아마비 백신 접종률은 92.5%,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 접종률은 92.1%로, 2019~2020학년도 각각 95%에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95% 접종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부모들의 백신 불신이 접종 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드러났다. 접종을 건너뛴 부모의 67%는 부작용 우려를, 53%는 백신 안전성 불신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KFF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7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18세 미만 자녀를 둔 학부모 및 보호자 2,7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2%포인트다.
닥터 폴 토마스, MD는
오레곤 주의 소아과 의사로
'환자사전동의 원칙'을 강조하며
영유아 백신의 접종 여부를
부모가 결정하도록 했다.
의사의 역할은 다른데 있는게 아니라
환자들에게 치우치지 않은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거라 믿고
이를 실천했던 의사다.
백신 접종 아동과 미접종 아동 간의
건강상태 를 비교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가 논문을 발표한지 5일 만에
의료위원회는 긴급회의를 소집해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그의 의사면허를 정지시켰다.
밥 시어스, MD 역시
환자들에게 존경 받는 소아과 의사로
아토피나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등으로
백신 부작용 고위험군에 속한 환자들에게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아도 되는
의학적 면제 서류(medical exemption)를
작성해 줬는데, 이를 남발했다는 이유로
의료위원회는 그의 면허를 정지시켰다.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YTN에서 전하는 미국 백신 소식:
https://youtu.be/N3urWmArJ0U
미국 소식을 전해주는 것만 해도
다른 언론사들보다야 기특하지만,
제목 좀 이따위로 짓지 마세요.
여기 아무도 대혼란 아닙니다.
입은 삐뚤어져도 말을 바로하라고
<'백신 위험성' 대문짝만하게>가 아니라
<백신 부작용 정확히 표기>가 맞는 말임.
이번 조치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백신을 못 맞게 금지하는게 아니라
원하는 사람은 얼마든지 맞을 수 있고,
정부가 나서서 권하지는 않는다는 것."
이게 문제인 사람이 있나요?
영상 1:32에 등장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하나같이 그리고 한결같이
'강제하지 않으면 접종률이 떨어진다'는
전제를 깔고 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도 그럴거라 봅니다.
상품이 좋지 않으면 소비자가 외면하고
시장에서 도태되는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백신은 뭐가 그렇게 잘났다고?
그러니까 좋은 제품을
제대로 만들면 될 일입니다.
실제로 국가에서 의무화하는 지금도
미국 부모 6명 중 1명은 이를 거부합니다.
cafe.naver.com/drjoshuacho/71559
10 minutes ago | [YT] | 40
View 1 reply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홍역 백신을 의무화 하는 의유가
집단면역을 이루기 위함 입니다.
1. 집단면역이 가능한지?
2. 집단면역이 필요한지?
두 가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1. 홍역 백신의 지속 효과
2. 홍역 질병의 위험 정도
두 가지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책과 영상을 통해 설명 드렸는데
(홍역백신과 집단면역 원본 영상)
https://youtu.be/cnNtvIGcMWM
이에 반대하는 의견이 있어서
영상을 통해 재 확인 했습니다.
<홍역 백신과 집단 면역에 관한 논쟁>
https://youtu.be/gWT3jy2zw40
3 days ago | [YT] | 1,570
View 78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미국 학부모 6명 중 1명, 자녀 예방접종 미루거나 건너뛰어
미국 학부모 6명 중 1명(16%)이 코로나19나 독감 외 다른 질병 예방접종을 자녀에게 건너뛰거나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워싱턴포스트와 비영리 보건정책단체 KFF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백인 부모, 공화당 성향, 종교적 신념이 강한 부모, 홈스쿨링을 하는 가정에서 예방접종을 피하는 비율이 특히 높았다. 홈스쿨링 가정의 46%, 종교적 신념이 강한 부모의 36%가 접종을 미루거나 건너뛰었다. 공화당 지지층은 민주당 지지층보다 2배 가까이 높은 22%가 접종을 피했으며, 백인 부모는 아시아계 부모(5%)보다 약 4배 높은 19%가 접종을 미룬 것으로 조사됐다.
예방접종률도 점차 하락하는 추세다. 2024~2025학년도 유치원생의 홍역·볼거리·풍진(MMR)과 소아마비 백신 접종률은 92.5%,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 접종률은 92.1%로, 2019~2020학년도 각각 95%에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95% 접종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부모들의 백신 불신이 접종 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드러났다. 접종을 건너뛴 부모의 67%는 부작용 우려를, 53%는 백신 안전성 불신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KFF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7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18세 미만 자녀를 둔 학부모 및 보호자 2,7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2%포인트다.
drjoshuacho.com/20250916-2/
4 days ago | [YT] | 2,449
View 118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찰리 커크를 한국 언론에서는
'극우 기독교 근본주의자'로 묘사하던데
동의하지 않지만, 뭐 그럴 수 있습니다.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도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라는 수식어 대신
'백신 음모론자'라는 딱지를 붙이기 때문에
언론이 가진 표현의 자유도 인정 해야지요.
문제는 사회가 얼마나 분열되었는지
한 사람의 죽음을 두고
소신껏 추모도 못하는 분위기를 넘어
'잘 죽었다'거나 '죽을짓을 했다'며
조롱하는 사람들이 있더군요.
이건 좌우나 정치 성향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됨됨이의 문제라고 봅니다.
예전에 노무현 대통령, 노회찬 의원의
죽음을 애도했더니, 그 때도 저에게
뭐라고 나무라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도대체 그게 무슨 경우인지?
도를 넘는 오지랍 아닌가요?
정치적 성향이나 이념이 다르다고 해서
상대방에 대한 혐오를 주체하지 못해
'죽여도 괜찮다'고 말하고 믿는 사람들.
한 젊은이의 정치적 암살 사건을 두고
가해자의 폭력을 정당화 하는 사람들.
당신들이 바로 역사가 경고해 온
'가장 위험한 부류'입니다.
찰리 커크의 명복을 빕니다.
5 days ago | [YT] | 5,795
View 334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2025년 추석 선물 특선 할인!
마음을 전하는 한가위,
닥터조 스토어에서 소중한 분들께 건강을 담아 선물하세요.
*전 제품 10% 할인.
(이미 할인중인 제품, 세트제품은 제외.)
*할인기간: 2025년 09월 26일 까지
닥터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바로가기
smartstore.naver.com/drcho
닥터조 스토어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drchostore.com/
6 days ago | [YT] | 157
View 1 reply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여러분들의 질문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라이브가 어느덧 9회를 맞이했습니다.
오늘 라이브 방송에서는:
#1
손목 관절염과 통증으로 진료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것을
알게된 환자분의 사연
#2
아이들이 저탄고지를 해도 될까?
간헐적단식을 해도 안전할까?
#3
급격한 체중감량 후 생긴 알레르기
하지만, 알레르기보다 더 위험한 것
#4
알러지 반응이 너무 심한 초5 아동
#5
히스타민 증후군과 쇼그렌 동반 원인
그밖에 라이브 중 올라오는
실시간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함께 <건강한 시간> 만들어 가요.
<방송시간>
한국시간 오전 10시
미국 서부시간 오후 6시
미국 동부시간 오후 9시
라이브 놓치신 분들은 일정기간
'다시보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이 후 회원전용으로 비공개 전환됩니다.
Q&A 라이브 시청 링크:
youtube.com/live/jyTNdoDO4jU?feature=share
1 week ago | [YT] | 350
View 1 reply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오늘 올린 영상이다.
https://youtu.be/N1lVJNM7qgo
닥터 폴 토마스, MD는
오레곤 주의 소아과 의사로
'환자사전동의 원칙'을 강조하며
영유아 백신의 접종 여부를
부모가 결정하도록 했다.
의사의 역할은 다른데 있는게 아니라
환자들에게 치우치지 않은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거라 믿고
이를 실천했던 의사다.
백신 접종 아동과 미접종 아동 간의
건강상태 를 비교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가 논문을 발표한지 5일 만에
의료위원회는 긴급회의를 소집해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그의 의사면허를 정지시켰다.
밥 시어스, MD 역시
환자들에게 존경 받는 소아과 의사로
아토피나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등으로
백신 부작용 고위험군에 속한 환자들에게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아도 되는
의학적 면제 서류(medical exemption)를
작성해 줬는데, 이를 남발했다는 이유로
의료위원회는 그의 면허를 정지시켰다.
의사들이 환자를 도와주고 싶어도
도와 줄 수 없는 이유다.
적어도 백신에 관한한 의사의
자율적인 진단과 의학적 판단은
허락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면허 박탈이라는 위협을 받기 때문이다.
반면, CDC에서 정한 접종 스케줄대로
환자들에게 모든 접종을 마쳤을 경우
의료 수가 외에 별도의 장려금이 지급된다.
cafe.naver.com/drjoshuacho/16321
멕시코 신임 경찰 서장에게 접근해서
"100만 달러의 뇌물을 받을래?"
"아니면 너네 가족 다 몰살할까?"
협박하는 마약 카르텔과 비슷하다.
백신 음모론을 이야기 할때
단골로 등장하는 의사가 있다.
홍역 백신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논문으로 발표한
앤드류 웨이크필드 박사다.
그의 논문 역시 철회되었고
의사 면허가 박탈되었으며,
홍역 백신과 자폐증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것이
'입증 되었다'는 근거로 거론된다.
하지만 이를 인용하는
의사나 기자 중에는 그 누구도
정확하게 논문의 내용이 뭔지?
의사 면허가 박탈된 원인이 뭔지?
내용을 정확하게 아는 이는 없다.
왜? 내용을 알면 그런 식으로
인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확한 자초지종은 이러하다.
cafe.naver.com/drjoshuacho/67560
이들 의사들에게 죄가 있다면,
#1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의문을 가졌다는 것과,
#2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직접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어차피 그 것 외에 이들이
다른 의도가 있던 것도 아니다.
백신과 관련한 글에는
'안아키'니 '음모론'이니
무지성적인 댓글이 종종 달린다.
저능아들이 다는 그 딴 댓글 말고
의미있는 지적을 좀 보고 싶다.
현재 부족한 연구들을 보완해서
보다 안전한 백신을 요구하는 것과,
숨기는 것 없이 모든 정보를 공개해서
소비자인 환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
어디가 잘못되었고 뭐가 문제인지를
논리적으로 지적하는 댓글 말이다.
1 week ago | [YT] | 2,327
View 227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적어도 만성질환 관리에 있어서
약물 처방 행위가 아닌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의료 수가를 지급한다면
현재의 진료 모델 상당부분이
바뀔 수 있다고 상상해 봅니다.
비록 현실 가능성 없는 상상이지만..
1 week ago | [YT] | 633
View 22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플로리다 주정부는 학교 백신 접종 의무를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현대 미국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이번 조치는 B형 간염과 수두 백신의
의무를 폐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플로리다 주의 이번 조치는
영유아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부모의 권리'와 '의료선택의 자유'를
우선하는 결정이라 밝히고 있다.
영유아 백신의 안전과 효과가
충분한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되었다면
의무화 하는 것이 정당화 될 수도 있다.
(그래도 강제해서는 안되겠지만)
하지만 현재 상황은,
영유아 및 취학 아동의 의무 접종
백신 종류는 크게 늘어난데 비해,
각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 연구가
미비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cafe.naver.com/drjoshuacho/60127
특히 혼합해서 모두 접종 했을 때,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라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에 대한 검토를 지시한 바 있는데,
drjoshuacho.com/20250626-2/
이에 일부 의사 단체가 반발하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drjoshuacho.com/20250709-3/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안되는 것이,
제약회사가 반발한다면 그러려니 하지만
의사 단체라면 환영해야 하는거 아닌가?
환자에게 접종해야 하는
약물의 안전성과 효과를
엄격하게 테스트하겠다는건데
뭐가 싫다고 저러는 건지?
연구가 미비한 현 상태가 좋다는 건지?
그런 <방어적인 의료> 행태도
이제는 사라져야 될 때가 되었다.
환자를 위하는 의사라면
<방어적인 의료> 보다는,
의사의 의무이고 책임이자
환자의 권리이고 책임인
<환자사전동의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득이 될 것이다.
Informed Consent | 환자사전동의 원칙
https://youtu.be/bGRBkEPo2gI
이번 플로리다 주의 조치를 두고
전문가들은 소아병상 감소 상황에서
백신 의무 폐지가 대규모 유행으로
이어질 경우 병상 수용 능력에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가 명확하다면
전문가들의 경고도 일리가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그동안 없었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고,
그런 상황에서는 저런 경고를 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도 빈약 할 수 밖에 없다.
기사 링크:
drjoshuacho.com/20250908-2/
1 week ago | [YT] | 3,836
View 186 replies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제가 사실 육포만 먹을줄 알았지
빌통을 겪어 본지 얼마 안되었는데,
지난번 바디티처스 강의에서
후원으로 참석한 카니비비안의 부스에서
목초우 소고기칩을 처음 먹어봤습니다.
그냥 먹어도 괜찮지만
버터를 발라 먹는게
신의 한 수였습니다.
제 개인적인 욕심 같아서는
닥터조스토어에 입점시키고 싶었지만,
저희가 미국에 위치한 관계로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아서 포기.
카니비비안 소고기칩 말고도
헤이그린스, 마야 항아리 춘장 같은
국내 신선식품들의 입점을 원했거든요.
그런데 배송이나 반품, 환불 등이
너무 복잡하고 애로 사항이 많아서
개인적인 욕심은 접을 수 밖에 없었구요,
대신 카페에서 공동구매를
해 달라고 제안을 드렸습니다.
카페에서 공동 구매가 처음이 아니라면
제 기억이 가물가물 할 정도로 오랜만에
이루어지는 공동 구매가 될 거에요.
더군다나 제가 요청 하기는 처음입니다.
보통 공동 구매를 진행 할 때
카페에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하는데
(정말 소정의 하찮은 수준이긴 함)
저는 그 수수료를 안 받는 대신,
그만큼 공구 가격을 더 낮춰서
회원분들께 혜택을 드릴 수 없냐고
문의를 드렸었습니다.
대표님도 그렇게 해 주고 싶지만,
다른 곳에서 싫어하셔서 (T-T)
온라인 공구가는 모든 곳에서
동일하게 해야만 한다고 해요.
그래서 수수료 만큼의 금액을
닥터조스토어 할인 쿠폰으로
대신 제공해 드리기로 했습니다.
카니비비안의 목초우 소고기칩
버터랑 함께 먹는 맛 꼭 경험해 보시고
소고기 말랭이도 경험해 보세요.
이미 드시고 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처럼 몰랐던 분들 경험하시라고
공구 기획한거니까 무경험자 분들
인생 첫 경험 해보시길 바래요!
선착순 이벤트로 10분께
제품 하나씩 (40g) 더 넣어드리는데
이 것도 제가 비용 부담 하는거에요.
cafe.naver.com/drjoshuacho/71270
2 weeks ago | [YT] | 499
View 26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