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러드의 유전자키(진키)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고 보급하는 한국 공식 커뮤니티 입니다.
*주제: 아침묵상과 카드뉴스
아침묵상 06:00~07:00 (7개의 신성한 봉인)
카드뉴스 07:00~07:20
아침묵상 07:20~07:50 (64 Ways 낭독 방송)
마이클 15분 토크 08:30
Zoom 회의 참가
us06web.zoom.us/j/82928605928...
회의 ID: 829 2860 5928
암호: 0000
묵상시간에는 편안한 음악을 제공해드리며 각자가 계신 곳에서 자유롭게 머무시면 됩니다.
참고하세요. ()
* 리차드 러드의 유전자키(진키)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고 보급하는 한국 공식 커뮤니티 입니다.
* 카카오 오픈 채팅방 open.kakao.com/o/gBHvUf1d
유전자 키(진키)에 궁금하신 분들은 카카오 오픈 채팅방으로 오시면 안내 드리겠습니다.
*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진키 코리아 전용공간에서 정기 강독회가 열립니다.
진키(유전자키)에 대해서 궁금하신 모든 분들께 열려 있습니다.
open.kakao.com/o/gBHvUf1d
Gene Keys
www.genekeys.com
Gene Keys Korea
www.genekeys.co.kr
/ genekeyskore. .
🏡 장소: 진키 코리아 네트워크
서울시 중구 창경궁로 62-5 문화빌딩 3층
문의 전화 : 010-5904-8591
e-mail : genekeyskorea@naver.com
~~~~~~~~~~~~~~~~
#유전자키 #진키코리아 #유전자키코리아 #진키 #유전자키카드뉴스 #진키코리아네트워크 #genekeys #genekeyskorea #genekeyskoreanetwork
Genekeyskorea
영적 성장을 돕는 도구,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요? (The Hidden Danger of Spiritual Tools)
A person holding a glowing spiritual tool, but the tool is casting a dark shadow on the person's face, symbolizing hidden danger.
1. 영적 성장을 돕는 도구, 왜 집착하게 될까요?
우리가 각성이나 의식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기술에는 항상 숨겨진 위험이 따른다고 합니다 . 이런 도구들은 우리를 돕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자칫 잘못하면 우리에게 독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가장 큰 위험은 우리가 그 기술이나 도구에 너무 집착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 마치 스마트폰이나 게임에 중독되는 것처럼, 영적인 도구에도 정신적으로 의존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집착은 결국 도구를 오용하거나 남용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일종의 중독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 여기서 말하는 중독은 꼭 몸이 아픈 신체적인 중독만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 오히려 도구를 사용했을 때 느껴지는 고조된 상태(heightened state)에 대한 감정적인 중독일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 그 기분 좋은 느낌, 즉 '영적인 하이(high)'를 잊지 못해서 계속 도구를 찾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외부 도구에 의존하는 것은 진정한 내면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2. '목발' 없이 스스로 걸을 수 있나요?
이상적인 영적 성장이란 외부 기술 없이도 스스로 그러한 고조된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외부의 도움 없이도 평온함이나 높은 의식 상태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도구에 의존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그 도구가 마치 목발(crutch)처럼 되어버립니다 . 목발은 다쳤을 때 잠시 도움을 주지만, 영원히 목발에 의존해서는 스스로 걸을 수 없게 됩니다.
결국 그 도구는 우리가 원하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개발한 유일한 방법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 도구가 없으면 불안하고, 도구가 없으면 명상도 잘 안 되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진정한 성장은 외부의 도움 없이도 내면의 힘으로 원하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외부 도구에 대한 의존성을 끊고, 내면의 힘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A person meditating peacefully in a natural setting without any external devices, symbolizing self-reliance.
3. '상태(States)'와 '단계(Stages)', 이 둘은 어떻게 다른가요?
영적 도구에 대한 의존성 문제를 이해하려면, 상태(States)와 단계(Stages)의 근본적인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 이 둘은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이 차이를 아는 것이 영적 여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상태(state)는 누구나 언제든지 쉽게 얻을 수 있는 일시적인 경험입니다 . 예를 들어, 어떤 물질을 섭취하거나 특정 도구를 사용했을 때 잠깐 고조된 상태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경험은 때때로 더 높은 진화나 다른 차원에 대한 경험, 혹은 깨달음의 섬광(enlightened flash)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 하지만 이는 잠시 스쳐 지나가는 경험일 뿐, 지속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마치 날씨처럼 잠깐 왔다가 사라지는 것이 바로 '상태'입니다.
4. 일시적인 '상태'가 아닌 지속적인 '단계'는 어떻게 얻나요?
일시적인 상태와 달리, 단계(stage)는 얻기가 매우 다르고 훨씬 어렵습니다 .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단계는 단순히 잠깐 좋은 기분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의식 자체가 영구적으로 성장하여 삶의 기반이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깊은 내면 작업이 필수적입니다 . 우리는 자신의 그림자 물질(shadow material)의 많은 층을 통과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 이는 자신의 어둡거나 숨겨진 부분을 마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자신의 트라우마를 오랜 기간에 걸쳐 처리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 이 과정은 힘들고 시간이 걸리지만 , 진정한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단계는 오랜 시간과 노력을 통해 쌓아 올리는 견고한 성과입니다.
5. 진정한 영적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진정한 영적 성장은 결국 자기 수양(self-discipline)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외부 도구에 의존하는 대신, 스스로 노력하고 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꾸준한 노력과 의지를 필요로 합니다.
가르침을 꾸준히 따르고, 의식의 새로운 단계에 도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이러한 노력과 자기 수양 없이는 진정한 '단계'에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영적 도구는 성장의 시작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그것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내면의 힘을 키우는 것이야말로 가장 깊고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 모두 목발 없이 스스로 걸을 수 있는 성숙한 영적 여행자가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A winding path leading up a mountain, symbolizing the long and difficult but rewarding journey of self-discipline and spiritual growth.
6 days ago (edited) | [YT] | 1
View 0 replies
Genekeyskorea
리처드 러드와 『The Ecstatics』 시리즈: 명상과 황홀의 길
1. 서문 — 마음의 눈으로 걷는 길
우리가 삶에서 맞닥뜨리는 가장 위대한 질문은, 때로는 입 밖으로 내지도 못한 채 마음 깊은 곳에서 조용히 타오른다.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무엇을 향해 걸어가야 하는가?” 리처드 러드는 이 오랜 질문 앞에 조용히 앉는다. 그리고 『The Ecstatics』라는 시리즈를 통해, 그 질문들에 말이 아닌 침묵으로, 해답이 아닌 향기로 응답한다.
이 시리즈는 철저히 개인적이며 동시에 우주적이다. 러드는 단지 한 명의 구도자가 아니라, 시간의 강을 따라 흘러온 수많은 ‘Ecstatics’—즉, 황홀을 통과한 존재들의 목소리를 모아 하나의 합창으로 엮어낸 연주자다. 그 소리는 높지 않지만 깊고, 화려하지 않지만 맑다. 마치 새벽의 안개 속에서 나뭇잎 끝에 맺힌 물방울처럼, 무심한 듯 빛나는 진실이다.
그는 우리에게 묻는다.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덧붙인다. “모든 고통은 결국, 사랑을 잃은 것에 대한 기억이다.” 이 말은 단순히 감정적인 위로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 존재의 가장 심오한 본질, 즉 ‘사랑으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철학적 통찰이다. 러드의 서문은 그 통찰을 따라 천천히 걸어가는 영적 산책로이다.
그 길의 이정표는 말보다는 '느낌'이며, 개념보다는 '공명'이다. 우리는 『The Ecstatics』라는 지도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려놓음으로써 본질에 다가간다.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더 빨리, 더 많이”라는 외침을 잠시 꺼두고, 러드는 “더 느리게, 더 깊이”를 제안한다. 그리하여 그는 우리에게 ‘존재의 고요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귀를 열어준다.
러드가 이야기하는 ‘Ecstatics’는 역사 속의 성자나 시인들만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곧 우리 자신의 내면에 살아 있는 빛나는 가능성의 다른 이름이다. 『The Ecstatics』는 그 가능성을 깨우는 부드러운 종소리이자, 우리가 잊고 있던 ‘본래의 나’를 향한 회귀의 부름이다.
이 서문은 하나의 시작이며 동시에 하나의 귀향이다. 이제 우리는 러드와 함께, 언어 이전의 침묵 속으로, 시간 이전의 영감 속으로, 그리고 사랑의 본향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어쩌면 이 시리즈가 열어주는 문은 바깥을 향한 것이 아니라, 우리 안의 가장 깊은 ‘문득’을 향한 것일지도 모른다.
cafe.naver.com/lovehealing/31203
the-ecstatics--7bbtyvu.gamma.site/
6 months ago | [YT] | 3
View 0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