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치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치과도사 입니다.
치과가 무서운 분들, 치과치료를 어떻게 받을지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한 종합 치과 안내채널입니다.
많은 소통 부탁드립니다~




치과도사

안녕하세요.
다음 컨텐츠 준비를 위한 설문조사 입니다.


다음 중 치과를 가기에 가장 적절한 타이밍은 언제 일까요??

참고로 정답은 없습니다. 단지 일반인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가볍게 답변 부탁드려요~~

1 year ago | [YT] | 0

치과도사

- 신경치료 표준 주의사항 (출처 : 대한치과의사협회) -

신경치료는 깊은 충치 제거시 신경 노출, 감염된 신경관, 뿌리주변 염증 등의 원인으로 시행합니다.

이외에는 부적절한 치아형태, 배열, 위치이상, 치아파절 혹은 외상경험(변색치아)이 있는 경우에는 우식이 없을지라도 신경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는 치아의 각 뿌리 신경을 제거, 신경관 길이 측정, 확대, 세척 및 소독, 신경관 공간을 메꾸는 과정으로 총 내원 횟수 및 내원빈도는 한번 내원으로부터 수개월에 걸쳐 경우에 따라(신경관 형태 및 길이, 신경관 막힘, 염증의 정도 등등) 다양합니다.


신경치료 중인 치아쪽으로 씹는 것은 절대 금해야 하며, 보통 때보다 적은 양을 반대 측으로 천천히 식사를 해야 합니다.


신경치료 후 뜨겁거나 찬 것에 의한 불편감은 사라지지만, 치아의 고유감각(만질 때, 두드릴 때, 밀어볼 때, 눌러볼 때, 씹을 때)에 대한 뿌리인데 민감도가 증가해서, 치료 전보다 많은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민감해진 고유 감각은 대개 2주 이내에 사라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 개월이 소요 될 수 있습니다.


치료 부위를 혀나 손으로 만지거나 두드리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치료 중 혹은 치료 후 한 동안 아무런 자극이 가해지지 않도록 환자분께서 노력해야 합니다.


신경관 및 뿌리 주변 염증 시엔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염증이 활발해져서 부종(부어오름) 및 통증과 불편감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재 신경치료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심한 통증이 있으시면 참지 마시고 진통제는 2알 씩 3시간 간격으로 하루 4회 복용하십시오.

약속시간에 관계 없이 즉시 내원 하십시오.


도중에 치료를 중단하거나, 부주의하게 씹다가 치아가 부러질 경우 발치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가 완료된 치아는 약해진 부위를 보강(코어재료 혹은 기둥+코어재료)하고, 보철치료를 완료된 다음에야 비로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치료 후 입을 벌리기 힘들거나 마취한 부위에 통증과 불편감이 2~3주 정도 지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따뜻한 찜질이 빠른 상태 호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근관치료에도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발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by 치과도사 ( 출처 : 대한치과의사협회 )

ps. 곧 영상으로도 상세설명을 하겠습니다.

1 year ago (edited) | [YT] | 2

치과도사

한동안 영상을 못 올렸네요 ㅜㅜ
올리고 싶은 내용은 많은데 잠시 영상 제작 방법을 재정비 중에 있습니다
안 쓰던 기기도 구매해 보고 보다 안정적으로 질 좋은 영상을 올리기 위한 노력 중이니 이해해 주세요 ^^;;;

조속히 여러분들에게 도움되는 영상을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1 year ago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