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Guys,

This is Funky Science channel communicating about

bio/healthcare/pharmaceutical/digital healthcare/cultured meat.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leave comments
and I will draw and create contents delivering scientific information and latest updates.

My channel is not does not give any information about you have to use certain products


FUNKY SCIENCE

Novo Nordisk

Akero Therapeutics 와 핵심이자 유일한 파이프라인인

EFX efruxifermin까지 사들이면서

위고비, GLP-1 치료제 계열에서 최초로 FDA 허가를 받은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EFX까지 사들이면서

리오넬 MASH급의 탄탄함을 갖추려고 하네요!

매번 강조하지만 MASH는 진짜 진짜 중요한 시장입니다

5 hours ago | [YT] | 5

FUNKY SCIENCE

와우 2025년 노벨생리의학상 주인공이 Regulatory T cell이 주인공인 peripheral immune!!

세포 치료제 영상에 진심인 @funkyscience도 쉽게 설명하는 영상 제작 갑니다!

3 days ago | [YT] | 2

FUNKY SCIENCE

우리나라 바이오텍의 3대장 중 하나인 에이비엘바이오의 CNS 질환 치료를 위해 고군분투중인

Grabody B에 대한 영상이 오늘 밤 21:30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3 days ago (edited) | [YT] | 12

FUNKY SCIENCE

중요한 이슈인거 같아 짧게 만들어서 올렸습니다!

알테오젠의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이 적용된 키트루다 QLEX가 가져다 줄 혁신!

2 weeks ago | [YT] | 6

FUNKY SCIENCE

9월말 게시를 목표로 제작 중인 콘텐츠는

한국 BBB shuttle의 자존심 ​⁠‪@ablbio‬
Grabody-B 플랫폼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9월 말에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IGF1R #Tfr1 #parkinsonsdisease #bloodbrainbarrier #BBB

3 weeks ago (edited) | [YT] | 9

FUNKY SCIENCE

오늘 밤에 게재될 콘텐츠는 비만치료제의 체중 감량효과를 평가할 때

Eli Lilly and Company와 Novo Nordisk가 어떤 기준을 토대로 효과를 평가했는지에 대한 영상입니다.

20:30 Funky Science 채널에서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3 weeks ago | [YT] | 6

FUNKY SCIENCE

위고비, 마운자로 뿐만 아니라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등 이 비만치료제를 평가할 때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그림에 제시된 2가지 기준을 토대로 체중감량을 평가합니다!

Efficacy estimand

Treatment estimand

그래서 이번주에 게재 예정인 콘텐츠는 바로 이 지표들이 의미하는바가 무엇인지를 실제 임상 결과를 예시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비만 치료제를 실제 제약사들이 어떤식으로 평가하는지에 대해 손톱만큼 이해하실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예정입니다

1 month ago | [YT] | 4

FUNKY SCIENCE

런던 베이글 뮤지엄 창업자이신 료님의 책 생각 없는 생각 책중 제가 펑키사이언스를 운영하는 철학과 맞닿는 부분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내 안에 있는 것들을 내 방식으로 표현했을 때 그 누군가에게 각기 다른 형태의 기쁨을 줄 수 있는 것에 커다란 흥미와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


펑키사이언스 플랫폼은

본질적으로 일반인분들에게 제약/바이오를 예술처럼 다가가고 싶다는 생각으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제가 표현하고 싶은 방식으로 매우 보수적인 이 분야를

예술적으로 풀어나가고 싶습니다. 그걸 색다르게 풀었을 때 1차적으로 성취감이 듭니다.

2차적으로 그런 노력 하나하나를 알아주시는 작은 댓글들은 성취감을 배로 만듭니다.


고정관념과 틀에 갖히지 않고 새롭게 다가갈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계속 고민해보겠습니다!

클래식한 생물학 주제 뿐만 아니라 미래 AI 양자컴퓨터가 생물학 그리고 우리 인류에 가져올 변화에 대한 콘텐츠도 더많이 제작할 예정입니다!

매번 댓글 달아주시는 구독자님들 묵묵히 좋아오 눌러주시는 분들 감사드립니다! 당연히 눈팅해주시는 분들도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1 month ago | [YT] | 12

FUNKY SCIENCE

하반기에 준비중인 콘텐츠 알려드립니다!

ㄱ.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임상 결과 해석 영상

ㄴ.in vivo CAR-T 세포치료제 원리

ㄷ. 노보노디스크가 투자하는 srRNA 기술은 무엇인가?

ㄹ.Trans-splicing RNA 이해하기

ㅁ. mRNA splicing이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이점


그리는 과학 AI 바이오

a. AI로 개발한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b.노바티스는 어떻게 팔란티어의 파운드리를 활용하려는 걸까?

1 month ago | [YT] | 12

FUNKY SCIENCE

세마글루타이드와 터제파타이드를 DPP-4 억제제인 sitagliptin과 비교할 때 hazard ratio를 사용해서 비교했는데

세마글루타이드를 예로 들면

HR이 0.58이라는 의미는
42%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의 입원 혹은 사망률을 평가기간 동안 어느 구간을 비교해도 위고비는 sitagliptin 대비 위험도가 낮았다는 의미이지

전체 risk가 42%가 낮았다고 해석하면 안됩니다
이는 relative risk와 hazard ratio를 잘못 해석해서 생길 수 있는 오류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영상을 참고하세요!

1 month ago | [Y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