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CPI (연간 상승률): 2.7% → 예상치(2.8%)보다 낮고, 물가 상승세 둔화 신호 월간 CPI: +0.2% → 전월(0.3%) 대비 완화됨 주요 상승 요인 — 주거비 (Shelter): 월간 상승률 0.2%로 전체 CPI 상승의 주된 요인 Core CPI (식·에너지 제외): 연율 3.1%, 6개월 내 최고 상승폭
이에 대한 언론사들의 반응 입니다.
Reuters : “CPI 2.7%로 예상보다 낮게 발표된 덕에 주식 강세, 채권 수익률 하락, 9월 금리 인하 기대 재부상" MarketWatch : “Core CPI 상승은 6개월 최고치 기록, 불확실성은 있지만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유지 중.” Business Insider : “CPI 결과는 온건했지만, 너무 낮을 경우 경기 약화 시그널로 해석될 수도 있어 향후 Fed 의사결정 방향이 관건"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요즘 집 사기 진짜 쉽지 않죠.
미국에서는 첫 집을 사는 평균 나이가 38세라고 해요.
30대 초반도 아니고, 거의 40에 가까워서야
내 집을 마련하는 거죠.
1990년대 초반만 해도 20대 후반에 첫 집을 샀다는데…
이제는 집값도 너무 올랐고, 금리도 높고,
결혼이나 직장 안정 같은 삶의 이벤트도 다 늦어지다 보니
첫 집 장만이 점점 뒤로 밀릴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내 집”이라는 목표가 더 멀게 느껴지는 요즘,
여러분은 몇 살쯤에 첫 집을 사고 싶으세요?
📌 출처: Visual Capitalist, The Rising Age of First-Time Home Buyers
3 weeks ago | [YT] | 16
View 3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8월 12일 오늘 발표된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CPI) 입니다.
전체 CPI (연간 상승률): 2.7% → 예상치(2.8%)보다 낮고, 물가 상승세 둔화 신호
월간 CPI: +0.2% → 전월(0.3%) 대비 완화됨
주요 상승 요인 — 주거비 (Shelter): 월간 상승률 0.2%로 전체 CPI 상승의 주된 요인
Core CPI (식·에너지 제외): 연율 3.1%, 6개월 내 최고 상승폭
이에 대한 언론사들의 반응 입니다.
Reuters : “CPI 2.7%로 예상보다 낮게 발표된 덕에 주식 강세, 채권 수익률 하락, 9월 금리 인하 기대 재부상"
MarketWatch : “Core CPI 상승은 6개월 최고치 기록, 불확실성은 있지만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유지 중.”
Business Insider : “CPI 결과는 온건했지만, 너무 낮을 경우 경기 약화 시그널로 해석될 수도 있어 향후 Fed 의사결정 방향이 관건"
1 month ago (edited) | [YT] | 34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미국 주택 모기지 이자율이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네요.
그런데 그 폭이 그렇게 크지 않아서 떨어졌나 싶게 느껴지시죠?
여전히 높게만 느껴지네요.
1년 전 평균 금리는 6.47%였습니다.
최근 미국의 고용이 나빠졌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9월에 기준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분위기가 점쳐지고 있는데요
다음달 FOMC 회의(9월 16일 ~ 17일)까지
조금 더 기다려보겠습니다.🙏🏻
1 month ago (edited) | [YT] | 31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안녕하세요. 올해 상반기 부동산 시장이 어땠는지 참고할 만한 자료를 가져와 봤어요.
2025년 상반기 조지아 주택 시장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작년보다 매물도 거래가 모두 늘어나고, 가격도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1. 매물(Active Listings)
1월 약 3만 건 → 6월 약 4만 건으로 계속 증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한 달 기준 25~35% 더 많음)
→ 집 볼 기회가 많아진 대신, 매도자 우위는 약간 약해짐
2. 신규 매물(New Listings)
3월부터 대량 공급 시작 → 5월 약 1.8만 건 최고치 → 6월 소폭 감소
(작년엔 1월 1.15만 → 5월 1.52만 → 6월 1.48만)
→ 봄철 매물 쏟아짐이 평소보다 더 강해짐
3. 거래 건수(Units Sold)
1월 약 5,600건 → 6월 약 9,600건으로 껑충
(작년 같은 기간엔 5,500 → 8,500건)
4. 중간 가격(Median Price)
1월 35만5천 달러 → 6월 38만5천 달러 상승
(작년 35만 → 38만 달러)
→ 매물이 많아도 수요가 꾸준해 가격은 계속 오름세
5. 거래 규모(Volume)
1월 24억 달러 → 6월 46억 달러로 확대
(작년 22억 → 41억 달러)
→ 전체 거래액이 작년보다 더 커졌음
출처 : GMLS
1 month ago | [YT] | 22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참고하면 좋을 자료 갖고 왔어요.
1. 미국 주별 집값
2. 부모 집에서 독립하기 위해 필요한 돈
3. 미국 주별 자녀 키위기 위해 필요한 돈
1 month ago | [YT] | 55
View 2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요즘 금리 보셨어요?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6.84%예요.
거의 7%에 가까우니까…
솔직히 말해서, 바이어분들 다 멈칫하고 계세요.
“이 금리에 집 사도 되는 걸까?”
“좀만 기다리면 떨어지지 않을까?”
하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지금 시장 분위기는요,
매물은 쌓이는데, 거래는 멈춘 상황이에요.
마음에 드는 집은 생겼는데,
금리 때문에 결정을 못 내리시는 거죠.
이해해요. 너무 잘 알아요. 저도 같은 마음이니까요.
그런데, 요즘 같은 시장에서는
오히려 협상력이 바이어 쪽에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 셀러들이 “팔기 어렵다” 느끼는 시기
🟡 바이어가 적다 보니, 조건을 조율해줄 가능성도 커요
🟡 나중에 금리 떨어지면 → 리파이낸싱 하면 되고요!
궁금하신 거 있으시면
언제든지 저한테 톡이나 문자 주세요 😊
부담 없이 물어보셔도 됩니다!
– 한윤지 에이전트 드림 🏡
📞 770-878-1125
📧 yjhan@yjhanrealty.com
🌐 www.yjhanrealty.com
3 months ago | [YT] | 48
View 2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주 30년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81%로 지난 몇 주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경험했던 3% 미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치인데요.
금리가 떨어질 때까지 집을 사지 않고 기다리는게 맞을까요?🙅🏻♀️
전문가들은 다른 조언을 합니다.
현재 금융 및 주택 시장 데이터는 내년 금리 인하가 거의 없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게다가 건축 자재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는 관세를 포함한 정치적 혼란도 고려해야 합니다.
연준(Fed ) 역시 2025년 5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향후 몇 달 동안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추이를 지켜보면서 연준이 언제 금리를 다시 인하할지는 불확실합니다.
즉, 금리인하를 기대하면서 주택구입을 미루고 있는 바이어라면 힐번쯤 다시 고민해봐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3 months ago | [YT] | 37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입니다.
지난주꺼 복사한거 아니구요.🤣🤣
지난주랑 변동이 없네요. 보합세입니다.
조금만 더 지켜보자구요^^
4 months ago | [YT] | 44
View 1 reply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미국 30년 고정 주택 모기지 이율이 이번주 6.76%로 지난주 6.81%에서 소폭 낮아졌네요.
여전히 높다고 느껴지는데,
작년 이 맘때는 7.22%였다는 거🥲🥲
5%후반 혹은 6%초반 정도만 되도 훨씬 많은 바이어들이 움직일 수 있을텐데 아직까진🤣🤣🤣
4 months ago | [YT] | 42
View 1 reply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지난 주와 별 차이 없이 이번주도 이렇게 지나가네요;;
4 months ago | [YT] | 41
View 0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