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일상, 경제, 부동산, 투자, 교육 등다양한 정보를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사회부기자 ➡️ 👩🏻🏫뉴스앵커 ➡️ 🤦🏻♀전업주부➡️ 👩🏻💼미국리얼터🇺🇲미국 애틀랜타에서 부동산 에이전트로 살아남기🙋+1(770) 878-1125📠 yjhan@yjhanrealty.com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지난 주와 별 차이 없이 이번주도 이렇게 지나가네요;;
3 days ago | [YT] | 37
View 0 replies
조지아주 애틀랜타 지역의 올해 1,2,3월 부동산 마켓 데이터입니다.총 팔린 데이터를 보면 확실히 작년보다 덜 팔렸네요;
5 days ago (edited) | [YT] | 34
View 1 reply
이번 주 30년 고정 미국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금리가 6.83%로, 1주일 전 6.62%에서 올라갔네요.거의 1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인데요.3월 이후 꾸준히 하락하면서'이제 집을 사볼까'하는 손님들이 많았는데다시 잠잠해 졌네요🥲이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요와 관계가 깊은데,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이어 중국과의 무역 전쟁 심화는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했고, 지난주 미국 국채 매도세를 초래했습니다.국채 가격이 불안정하면서 10년 채권 금리가 올랐고이에 영향을 받는 모기지 금리도 함께 올랐네요;;
1 week ago | [YT] | 43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2주 연속 6.6%대를 유지하며 하락하지 않고 있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유예하더라도, 모기지 금리는 당분간 내려가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요.그 이유는 최근 국채가 대거 매도되면서 금리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월 4일 3.99%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꾸준히 상승해 현재 약 4.4%에 도달했습니다.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모기지 금리의 주요 기준이라국채 금리가 오르면 모기지 금리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국채 가격이 하락하면(즉, 투자자들이 국채 매수를 줄이면) 국채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카네기 멜론 대학교 체퍼 경영대학원의 체스터 스팻 교수는 모기지 금리가 앞으로 6.5~7% 범위에서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보다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이런 변동성이 "관세 문제와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 weeks ago | [YT] | 30
이번주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지난주에 비해 o.o1%포인트 떨어져 6.64%를 기록했습니다. 거의 변동없이 6%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는데요.모기지 금리가 6.5%일 때 2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매하려면 최소 연소득이 6만 달러가($61,487)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2025년 미국 가구 중 약 5,287만 가구가 이 소득 기준에 미치지 못하구요. 전체 인구의 70%는 4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매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해요.새 집 짓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정리한 그래프를 보면, Construction Cost가 428K에 이거 저것 다 더하면 최종 판매 가격이 665K라고 하네요.현 상황에서 집을 구매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집을 살 여력이 되는 사람이 얼마나 적은 지를 알 수 있네요 ㅜㅜ
3 weeks ago | [YT] | 36
이번 주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6.65%를 기록했습니다. 지난주 6.67%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입니다.작년 이맘때 모기지 금리는 6.79%였어요. 그래프를 보시면 2023년 7.08% 그리고 2024년 7.79%와 비교해서 확실히 낮아지긴 했지만 그 사이 물가도 오르고 집 가격도 오르면서 월 페이먼트를 감당할만한 바이어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1 month ago | [YT] | 32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주 연속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30년 고정금리는 6.67%15년 고정금리는 5.83%가 되었습니다.미국에서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구매력은 지난 몇 년 동안 1.가격 상승, 2.역사적인 재고 부족3.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크게 하락했습니다.작년에 전문가들은 처음에는 모기지 금리가 2025년 내내 5%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 이후로 2026년 말까지 6%에서 7% 사이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여 기대치를 수정했습니다.실제로 현재 모기지 금리는 6퍼센트 중후반을 왔다갔다 하고 있습니다. 🥲
1 month ago | [YT] | 39
View 2 replies
미국에서 30년 모기지의 평균 금리가 이번 주에 약간 상승했네요🥲지난주 6.63%에서 6.65%로 올랐습니다.그나마 다행인건 1년 전에는 6.74%였는데 그것보단 낮네요;;모기지 금리는 채권 시장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결정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1월 중순에 7%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상승한 후, 30년 모기지의 평균 금리는 지난주까지 하락을 이어갔어요.그래서 많은 분들이 이제 떨어지겠구나좀 더 기다려볼까 했는데;; 이번주 약간 상승하면서잠재적 구매자의 움직임을 만들어 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1 month ago | [YT] | 26
이번 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6.63%로 하락했어요😀이는 지난주 6.76%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9월 중순 이후 가장 큰 주간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6주 연속 하락한건데요경제에 대한 우려가 금융 시장을 강타하면서 주택 대출 금리가 연속 하락했습니다.올 초만 해도 금리가 하락보다는 동결 혹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하는 기관도 있었지만, 실제 분위기는 그렇지 않네요.금리가 1월 초에 약간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 경제에 대한 경고 신호와 함께 꾸준히 하락하고 있고 하반기 추가 인하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입니다.
1 month ago | [YT] | 38
30년 고정 모기지의 평균 금리가 지난주 6.85%에서 6.76%로 하락했습니다. 30년 대출의 평균 금리는 1년 전 6.94%였습니다.6주 연속 하락하여 2개월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그렇다면 궁금하실 것 같아요.'모기지 금리가 떨어지고 있으니까 조금만 더 기다려봐야지'하실 수 있을 텐데요.각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겠지만집구매 계획이 있으시다면 기다리지 말고 사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1. 모기지 금리가 떨어지면 바이어들이 더 몰릴테고멀티플 경쟁으로 추가 금액을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2. 1년중 집가격이 가장 높게 형성되는 시기는 6월, 7월입니다.3. 경쟁이 조금이라도 덜할때 딜을 통해 이자 낮추는 비용을 샐러한테 받아낼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모기지금리가 떨어질때까지 기다리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1 month ago | [YT] | 24
Load more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지난 주와 별 차이 없이 이번주도 이렇게 지나가네요;;
3 days ago | [YT] | 37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조지아주 애틀랜타 지역의 올해 1,2,3월 부동산 마켓 데이터입니다.
총 팔린 데이터를 보면 확실히 작년보다 덜 팔렸네요;
5 days ago (edited) | [YT] | 34
View 1 reply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 주 30년 고정 미국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금리가 6.83%로,
1주일 전 6.62%에서 올라갔네요.
거의 1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인데요.
3월 이후 꾸준히 하락하면서
'이제 집을 사볼까'하는 손님들이 많았는데
다시 잠잠해 졌네요🥲
이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요와 관계가 깊은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이어
중국과의 무역 전쟁 심화는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했고,
지난주 미국 국채 매도세를 초래했습니다.
국채 가격이 불안정하면서 10년 채권 금리가 올랐고
이에 영향을 받는 모기지 금리도 함께 올랐네요;;
1 week ago | [YT] | 43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2주 연속 6.6%대를 유지하며 하락하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유예하더라도,
모기지 금리는 당분간 내려가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요.
그 이유는 최근 국채가 대거 매도되면서
금리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월 4일 3.99%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꾸준히 상승해
현재 약 4.4%에 도달했습니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모기지 금리의 주요 기준이라
국채 금리가 오르면 모기지 금리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즉, 투자자들이 국채 매수를 줄이면)
국채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카네기 멜론 대학교 체퍼 경영대학원의 체스터 스팻 교수는
모기지 금리가 앞으로 6.5~7% 범위에서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보다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이런 변동성이 "관세 문제와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 weeks ago | [YT] | 30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주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지난주에 비해 o.o1%포인트 떨어져 6.64%를 기록했습니다.
거의 변동없이 6%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모기지 금리가 6.5%일 때 2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매하려면 최소 연소득이
6만 달러가($61,487)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2025년 미국 가구 중 약 5,287만 가구가 이 소득 기준에 미치지 못하구요. 전체 인구의 70%는 4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매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해요.
새 집 짓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정리한 그래프를 보면,
Construction Cost가 428K에 이거 저것 다 더하면
최종 판매 가격이 665K라고 하네요.
현 상황에서 집을 구매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집을 살 여력이 되는 사람이 얼마나 적은 지를 알 수 있네요 ㅜㅜ
3 weeks ago | [YT] | 36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 주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6.65%를 기록했습니다.
지난주 6.67%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입니다.
작년 이맘때 모기지 금리는 6.79%였어요.
그래프를 보시면 2023년 7.08%
그리고 2024년 7.79%와 비교해서 확실히 낮아지긴 했지만
그 사이 물가도 오르고 집 가격도 오르면서
월 페이먼트를 감당할만한 바이어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1 month ago | [YT] | 32
View 1 reply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주 연속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30년 고정금리는 6.67%
15년 고정금리는 5.83%가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구매력은
지난 몇 년 동안
1.가격 상승,
2.역사적인 재고 부족
3.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크게 하락했습니다.
작년에 전문가들은
처음에는 모기지 금리가
2025년 내내 5%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 이후로 2026년 말까지 6%에서 7% 사이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여 기대치를 수정했습니다.
실제로 현재 모기지 금리는 6퍼센트 중후반을 왔다갔다 하고 있습니다. 🥲
1 month ago | [YT] | 39
View 2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미국에서 30년 모기지의 평균 금리가 이번 주에 약간 상승했네요🥲
지난주 6.63%에서 6.65%로 올랐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건 1년 전에는 6.74%였는데 그것보단 낮네요;;
모기지 금리는 채권 시장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결정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1월 중순에 7%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상승한 후,
30년 모기지의 평균 금리는 지난주까지 하락을 이어갔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이제 떨어지겠구나
좀 더 기다려볼까 했는데;; 이번주 약간 상승하면서
잠재적 구매자의 움직임을 만들어 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1 month ago | [YT] | 26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이번 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6.63%로 하락했어요😀
이는 지난주 6.76%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9월 중순 이후 가장 큰 주간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6주 연속 하락한건데요
경제에 대한 우려가 금융 시장을 강타하면서 주택 대출 금리가 연속 하락했습니다.
올 초만 해도 금리가 하락보다는 동결 혹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하는 기관도 있었지만, 실제 분위기는 그렇지 않네요.
금리가 1월 초에 약간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 경제에 대한 경고 신호와 함께
꾸준히 하락하고 있고 하반기 추가 인하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입니다.
1 month ago | [YT] | 38
View 0 replies
한윤지의 미국 스며들기
30년 고정 모기지의 평균 금리가 지난주 6.85%에서 6.76%로 하락했습니다. 30년 대출의 평균 금리는 1년 전 6.94%였습니다.
6주 연속 하락하여 2개월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
그렇다면 궁금하실 것 같아요.
'모기지 금리가 떨어지고 있으니까 조금만 더 기다려봐야지'하실 수 있을 텐데요.
각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겠지만
집구매 계획이 있으시다면 기다리지 말고 사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1. 모기지 금리가 떨어지면 바이어들이 더 몰릴테고
멀티플 경쟁으로 추가 금액을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1년중 집가격이 가장 높게 형성되는 시기는 6월, 7월입니다.
3. 경쟁이 조금이라도 덜할때 딜을 통해 이자 낮추는 비용을 샐러한테 받아낼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모기지금리가 떨어질때까지 기다리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1 month ago | [YT] | 24
View 0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