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esome Insight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49JW0T@AICOMPANY
안녕하세요!
저는 배움과 성장을 사랑하는 중등교사이자 평생 학습자입니다.
이 채널은 여러분과 함께 하루하루를 더 의미 있게 살아가기 위해 만든 공간입니다.
💡 채널 슬로건
“당신의 인사이트를 현실로!”
: 놀라운 생각(어썸 인사이트)이 일상을 바꾸는 힘이 되도록,
그 인사이트를 함께 나누고 실행으로 옮겨가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 주요 콘텐츠 소개
-개인지식관리 (PKM)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현재 PKM을 주제로 한 책도 집필 중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AI를 활용한 유튜브 콘텐츠 기획과 제작 과정을 생생히 공유합니다.
ChatGPT 같은 도구를 어떻게 실전에 활용하는지도 알려드려요.
-독서와 사색
매일의 독서를 통해 얻은 통찰을 나누고,
책에서 배운 인사이트를 어떻게 현실에 적용할 수 있을지 이야기합니다.
🌱 이 채널은…
지식과 아이디어가 머릿속 생각에 그치지 않고,
실행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지금 [Awesome Insight 채널]에서
당신의 생각을 행동으로,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여정을 시작하세요.
📌 구독하고,
당신만의 인사이트가 현실이 되는 과정을 함께 경험해보세요!
어썸 인사이트
[자기성장의 초점] 타인과의 경쟁이 아닌, 자신의 미래와 경쟁하라.
그렇다면 나는 경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에서 무엇을 실천할 수 있을까? 단언하 건대 가장 쉽고 간단한,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방법은 '자기성장'이다. 성장함으로써 느끼는 기쁨을 반복해서 경험해야 한다.
경쟁이 필요하다면 그 초점을 자신의 변화와 성장에만 맞추자. 끊임없이 내면을 들 여다보고 내가 진정 무엇을 하고 싶은지 찾아라. 나이도 직업도 전혀 중요하지 않다.
이제부터라도 관심 있는 일을 찾아 해보면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탐구해 보자. 그것이 직업으로 연결된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꼭 직업이 아니어도 좋다. 무엇이든 시도해 보라. 그리고 자신의 미래와 경쟁하라. 내가 그리는 역량을 목표로 성장하는 삶을 살자.
오늘의 나는 어제의 나와 경쟁한 결과다. 그리고 지금은 내일의 나와 경쟁하고 있 다. 당신은 그 경쟁에서 이길 것인가, 질 것인가.
-<마인드 박스>, 김익한
어썸인사이트 생각:
우리는 학창시절 입시시스템의 줄 세우기 경쟁에 익숙해져있다.
사회인이 된 지금도 승진, 부자, 윤택한 삶을 위해 끊임없이 경쟁하고 또 경쟁한다.
결국 삶의 마지막에 도달했을 때, 타인과 세상과의 비교가 의미가 있을까?
나의 삶을 돌아봤을 때,
‘어제보다 행복한 나, 그리고 내일보다 더 성장한 나’가 의미가 있다.
어린아이들은 다른 아이보다 빨리 걷기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나의 한걸음이 안전하게, 그리고 한걸음 더 뗄수있도록 노력할 뿐이다.
마찬가지로 성인이 된 우리도
주변에서 뛰고있는 모습을 보고 조급해하고 부러워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원하는 ‘자기성장’을 위한 한걸음을 떼는것에 집중해야한다.
나의 ‘자기성장’을 ‘기록’을 통해 남기고, 들여다보고, 생각하자.
내 삶의 작은 성장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10 months ago | [YT] | 2
View 0 replies
어썸 인사이트
[좋은 판단의 조건] 내 기준으로 스스로 ‘선택’했다면 실패하더라도 ‘성장’할 수 있다.
과거를 돌이켜 보면 나 또한 잘못된 결정을 내린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선택 자체를 후회하지는 않았다. 중요한 선택일수록 내 인생관에 기초한 기준에 따라 결정했기 때문이다. 인생에서 항상 좋은 결과만 있을 수는 없는 법 아닌가. 오히려 내 판단으로 결정했기에 일이 잘못되었을 때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익힌 것을 바탕으로 다음에 더 좋은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성장이란 이렇게 이루어진다.
-마인드박스, 김익한
어썸인사이트 생각:
우리는 ‘선택’할 때 이미 그 선택을 한 사람들에게 조언을 얻는다.
미리 그 선택을 통해 실패를 해본 사람은 조언을 해준다.
“이렇게 하며 실패보단 성공할 확률이 높아!”
물론, 타인이 겪은 경험으로
나의 시행착오는 줄일 수있다.
하지만, 내 기준으로 스스로 선택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정과 결과를 온전히 나의 몫이라고 볼 수 없다.
누구나 ‘실패’를 원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과정에서 ‘실패’없이는 ‘성공’은 없다고 생각한다.
‘성공’을 위해서는 ‘실패’는 필연적이라는 것을 받아들이자.
‘실패’가 두렵지 않다면,
내 앞에 놓인 선택지를 내 ’기준’으로 온전히
선택할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오늘도 내 앞에 놓인 많은 선택지 중에
온전히 나의 기준으로 ‘선택’하려고 노력해본다.
내 기준으로 선택했다면,
실패하더라도
나는 행동하기 전보다 더 성장했다고 믿는다.
10 months ago (edited) | [YT] | 0
View 0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