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투자하는 40대가장 입니다.
지금까지 부동산 다주택전략을 통해 자산의 성장을 이루었고, 프랜차이즈 독서실, 프로그램ETF투자 등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가장 좋은 재테크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1.국내 etf를 통한 연금, isa 절세투자 2. 미국주식 직접투자 3. 똘똘한 상급지 1주택전략을 통해 자산을 리밸런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좋은 투자방법이 있다면 분야를 가리지 않고 공유하고 함께 소통해보고 싶습니다. 😀
공식블로그 : m.blog.naver.com/sis1016
4GV1NK@AICOMPANY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모두가 공포일때가 “늘” 바닥입니다.
어느덧 다시 100k 임박이네요. 🚀
1 day ago | [YT] | 12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증시가 연일 상승하고 있습니다.
제가 팔란티어 추세가 좋다는 글을 올려드린날 이후 2주간
93달러에서 124달러까지 30%가 넘는 상승을 보여줬고, 이제는 아무도 물리신분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
팔란티어가 다음영업일인 월요일에 현재 주가(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해 준다면 더 가겠지만 만약 돌파에 실패한다면 단기적인 눌림이 올수 있어보입니다.
주의하셔서 매매하시기면 좋을것 같네요!
그럼 행복한 주말&연휴되시고 쉬는동안 틈틈히 인사이트 드릴수 있는 영상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6 days ago (edited) | [YT] | 18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안녕하세요.
요즘 갑작스레 바쁜일상들이 겹치면서 영상을 업로드 못하고 있네요. 오늘 갑작스럽게 글을 남기는 이유는 꽤나 의미있는 반등이 나왔고 시장의 변곡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비교적 최근에 올려드렸던 영상들에서 이야기 드렸듯 증시가 아무리 빠져도 적어도 26년 11월이 중간선거가 있으니 내년부터는 증시는 다시 올라갈꺼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미국주식] 미중관세전쟁과 미국증시 회복시나리오(ft. 트럼프, 시진핑)
https://youtu.be/AIsdSY6PiV4
그런데 국채 금리의 압박으로 트럼프와 베센트가 생각보다 빠른 안정화를 택해주었습니다.
나스닥 100기준으로 올해 하락 추세라인을 정확하게 돌파해 주고 있습니다. 이제는 마지막 허들인 224일선만 돌파해 준다면 아마 상승추세로의 전환에 확신을 가져도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지금까지 지루한 황보를 보이던 비트코인도 상승 전환을 강하게 했다는 점도 고무적입니다.
과거 영상에서 반감기 패턴상 올해까지는 상승을 보고 있다고 했었는데 이제 그 정점을 향하는 시기가 오는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첨부드린 BITCOIN vs Global M2통화량을 보면 통화량의 증가에 후행하며 상승하는 비트코인을 보실수 있습니다.
다시 M2가 증가하고 있고 금리 인하기 입니다.
적극적으로 돈을 불릴때라고 생각되네요.
그럼 즐거운금요일 보내시길 바라고 주말 영상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weeks ago (edited) | [YT] | 8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안녕하세요.
시장이 조금 좋아지려고 하면
트럼프의 대중 관세 폭탄으로 혼란이 찾아오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지표상 주식시장 저점부근인것은 확실 한데 트럼프의 강공과 중국의 강경대응으로 절대로 끝날거같지 않을것 같은 싸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럴때 금리라도 인하되면 좋을텐데 관세 부과시 인플레이션이 자극될 수 있어 파월 연준의장도 쉽사리 인하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제의 하락은 트럼프의 대중국 엔비디아 저가칩 수출제한조치가 하락 트리거가 됐고 파월의 풋을 기대에 대한 실망감이 콜라보 되며 발생했다고 볼 수있습니다.
현재는 하락장이기 때문에 레버리지 종목들은 철저한 현금 관리 분할매수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장기이평선(200일선)위에서 놀고 있는 팔란티어나 넷플릭스 같은 기업들에 투자하는것이 좋습니다.
공포지수는 39일째 공포 단계입니다.
하지만 영원한 공포는 절대로 없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내시고 다들 원화채굴 열심히 해서 주식으로 바꾸시길!
감사합니다.
3 weeks ago (edited) | [YT] | 11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팔란티어가 요즘 흐름이 좋습니다.
하락시기에도 가장 적게 빠져서 주도주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천리안구슬 팔란티르에서 따온이름인데 이름대로 데이터에 기반하여 엄청난예측력을 보여줍니다.
정보기관 군대 기업 모든분야에서 확장성이 있어서 성장가능성 자체도 무궁무진 하구요.
특히 군사적인 용도는 무역전쟁이 신냉전으로 가속화 될수록 가장 눈여겨봐야할 분야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런 결과물로 어제 발표된 뉴스에 따르면,
이제 NATO사령부도 팔란티어의 메이븐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우-러전쟁에서도 입증됐듯이 팔란티어의 데이터기반 예측력은 기존 전투력을 배가 시켜줍니다. 조만간 한미연합사에도 도입이 되면 좋겠네요.
장기투자할 종목인건 확실합니다.
3 weeks ago | [YT] | 9
View 2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상호관세 대상만 아닐뿐…
품목관세를 부과하겠다네요…😱😱😱
3 weeks ago (edited) | [YT] | 8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좋은 소식이 보여 글 올립니다.
트럼프가 자국의 산업 육성을위해 반도체, 휴대폰을 찍어서 관세면제를 시행했습니다.
아마 다음주 월요일이 되면 애플, 엔비디아 등이 가장크게 반응할것이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반사이익을 보겠네요.
주식이 급등하는날은 따라서 매수하지마시고 눌림이 나오는날 추가매수 꾸준히 허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1년내에 만족할만한 결과 분명히 올겁니다. 현재 공포탐욕지수는 여전히 EXTREME FEAR상태입니다. 이렇게 오랜기간 극도의 공포가 유지되고 Vix지수가 50을 터치할 정도면 바닥입니다.
아마도 1년뒤에는 오늘을 회상하지 않을까요?
그때 더살껄…
조금 리스크를 더 져볼껄… 이라고
요새 저는 개인적으로 이사준비, 사이드로 보유중이 수도권 신축 분양권 입주, 회사 업무가 겹치면서 조금 시간이나 체력에서 무리가 온 상태입니다. 해서 영상을 자주 못만들고 있지만… 주식매수는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꼭 이번 기회를 다들 잡으셔서 1년뒤엔 더 나아진 계좌 상황을 서로 공유했으면 좋겠네요^^
3 weeks ago | [YT] | 14
View 0 replies
올재 : 직장인 부자로 은퇴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전체 공개글을 올립니다.
모두 아시겠지만 어제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결과 한국도 26%라는 엄청난 관세를 맞고 한국GM공장의 존폐위기(90%가 미국수출 물량)가 거론되는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미국향 수출감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관세는 미국의 소비물가를 자극하거나 생산기업의 마진을 악화시킬것이라 어떤 경로로든 소비의 위축, 기업의 위기로 연결될 악재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굉장히 크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영상에서 올려드렸던 장기이평선(224일선) 이탈은 이제 단기간에 회복은 어려운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22년과는 다른이유로 하락장이 시작된것 같습니다.
S&P500시총을 물가를 반영한 기업의 이익으로 나눈 쉴러 PE Ratio는 38부근에서 쌍봉을 만들고 내려왔고, 현재 33입니다. 지난 22년 바닥인 28-30부근까지는
열어둬야 할것 같습니다.
지수 차트상으로도 나스닥 100 지수 기준 16,600까지는 열어두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주봉 RSI 30이하 적극매수)
22년 하락장도 길어야 1년 이었습니다.
401k의무가입 이후 미국의 선거는 주식시장에 연동돼있습니다. 늦어도 2026년 11월 중간선거 전에는 증시 회복 될거라고 봅니다.
대공황으로 간다 이런이야기 나올때가 늘 매수타이밍이었고 공포를 이긴 사람만 다음 상승장에 웃을수 있습니다.
저도 모든 종목이 다 물린 상태지만 TQQQ 1억만들기Pjt나, 개인계좌 적립매수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요즘 여러모로 좀 바쁜일이 많아서 벌려놓은 작업들을 못하고 있는것들이 좀 있는데요.
1억만들기는 조만간 정리해서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내시고 끝까지 시장에서 살아남으시길 바랍니다^^
1 month ago | [YT] | 14
View 0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