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al Practical Course

Hello all YouTuber friends around the world.
I am a teacher teaching electricity in Korea.
Among my students, there are many young
Also, many of them are over 50 years old.
To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difficult electric lectures
I'll let you know easily.
thank you.


김정곤 TV

전기시험에 출제 빈도가 높은
전선과 전선로 그리고 각종 지선에 관한
동영상 강좌를 준비 하고 있읍니다.
오늘 저녁(7/23) ..9시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1 month ago | [YT] | 52

김정곤 TV

#수변전설비 #변전실 #정전
수변전설비 재생목록에 변전실의 정전과 복전에 관한
영상을 업로드 하였읍니다.

수변전설비의 정전과 복전의 원리에 관한 영상입니다.
정전의 종류는 크게 한전정전과 구내설비 고장으로 인한 불시정전,
그리고 설비의 개선이나 교체 또는 청소등의 원인으로 계획정전을
실시 하기도 합니다.
본 영상에서는 한전정전을 경우로 삼았읍니다.
한전의 정전이 발생 하게 되면, 계기용변압기(PT)의 전압이
없어지고, 계기용변압기에서 신호를 받은 부족전압계전기(UVR)는
진공차단기(VCB)의 접점을 트립 시킴과 동시에 비상발전기를
가동 시킵니다.
비상발전기가 가동 후 정격전압 380볼트와 정격주파수 60헤르츠에
다다르게 되면, 자동절환개폐기(ATS)의 접점을 동작 시킵니다.
물론 공용부분의 시설에 한해서 전기가 공급 됩니다.
아파트 같은 경우 전용부분의 전기는 공급 되지 않읍니다.
다시 한전전원이 들어오는 복전이 되면, 정전 시와는 반대의 순서로
동작 하게 됩니다.
본 영상은 전기자격증을 준비 하시는 분들, 특히 전기기능사,전기기능사실기
전기산업기사,전기산업기사실기,전기기사,전기기사실기를 준비 하시는 분들께
도음을 드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변류기(CT)와 과부하계전기(OCR)에 의한 과부하로 부터
부하 및 선로를 보호 하는 메커니즘도 같이 만들어 두었습니다.

5 months ago | [YT] | 86

김정곤 TV

김정곤TV를 아껴 주시는 구독자 여러분들께
오랫만에 게시물을 통해서 안부를 물어 봅니다.

요즘은 전기관계의 질문 보다는 일자리, 특히
시설쪽으로 물어 보시는 분들이 부쩍
많아졌읍니다.
아마도 우리나라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는
징표라는 생각이 들었읍니다.
사실 김정곤TV도 동영상이 800개가 넘어가게 되니까
이제 영상들이 재탕에,삼탕에,, 탕탕탕 입니다..ㅋ
앞으로 인공지능과 산업 및 가정용 로봇들이
도입 되게 되면, 우리의 일자리에 대한 위협들이
목전으로 들이 닥칠 거 같습니다.
김정곤TV에서 추구하는 건물관리에 대한
강의를 지속 하면서도, 우리 전기기술인 및
시설관리 하시는 분들을 위한 생존생태계,즉
우리 일자리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할까 합니다.
양질의 일자리 정보와 향후 자격증 전망 등
우리의 먹거리를 지키기 위한 행보를
시작 할까 합니다.
여러분들의 좋아요와 댓글이 필요합니다.
김정곤TV라는 쇄빙선이, 두껍께 얼어 붙은
일자리 얼음을 깨고 앞서 갈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많은 댓글과 응원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5 months ago | [YT] | 211

김정곤 TV

#전기실무 #전기기사 #전기기사실기 #전기기능사 #전기기능사실기 #전기산업기사 #전기자격증
포켓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선로 내의 핫상과 중성선
그리고 접지선을 구분해서 찾는 방법입니다.
전기자격증을 준비 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핫상과 중성선 그리고 접지를 구분 해서
설명이 가능 하셔야 합니다.
시설관리 실무에 종사 하시는 분들 또한
본인의 안전과 아파트 주민들을 위해서
핫상과 접지선 그리고 중선선을 구분 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6 months ago | [YT] | 38

김정곤 TV

안녕하세요 김정곤TV구독자 여러분 !

전기시험에 출제 빈도가 높은 MOF배선을
3D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MOF는 계기용변성기라고 합니다.
수변전설비에 있어서 특고압부분에 흐르는
고전압과 대전류를 한전계량기에 직접적으로
검침이 불가능 한 구조입니다.

이에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시켜서
한전의 계량기가 검침이 가능 하도록
해주는 기기가 MOF입니다.


MOF는 PT와 CT가 하나의 함에
함께 들어 있어서 PT에서 전압분을,
그리고 CT에서 전류분을 공급합니다.
전압분과 전류분을 전력분이라고 합니다.

다소 부족한 설명이지만,
전기자격증을 준비 하시는 분들께
조금의 도움이라도 되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연휴 마무리 잘 하시고
힘차고 건강한 2월 되십시요..

(김정곤 드림)

1 year ago | [YT] | 114

김정곤 TV

편안한 휴일 보내고 계시는지요.

3상유도전동기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만든 영상을 오늘 저녁 10시경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회전자장과
수용가 3상유도전동기의 정역회전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 하시는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1 year ago (edited) | [YT] | 37

김정곤 TV

"김정곤의 시설관리소" 채널을
방문 해주시는 모든 여러분 반갑습니다.

바쁜 일정으로
오랜동안 업로드를 못했는데도 불구하고,
댓글 주시고 관심 가져 주신 모든 분들께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주말에라도 시간을 내어서
여러분들 댓글에 대한 답을 영상으로
만들어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양해의 말씀을 드릴 수 밖에 없는 것은
제가 이미 업로드 해놓은 영상들이 500여개가
넘다 보니 하루 동안에 주시는 댓글이
평균 20여개가 넘습니다

직장생활을 병행하는 셀러리맨이다 보니
시간내어서 일일히 댓글을 드리는 게 불가 한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기회가 되는데로
댓글에 대한 답글을 드리는 방식으로
안부를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준비하는 영상은
KEC규정의 접지방식중에서
TN-C와 TN-S접지방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론을 ,실무인 배전반과 연결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풍부한 이론과 저의 실무를
접목 시키는 작업을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무더위에 건강 조심 하시고 건승하세요.

2 years ago | [YT] | 68

김정곤 TV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설명절 연휴 잘 보내고 계시는지요.

저는 연휴첫날에 조상님들 찾아 뵈옵고
1박2일 빙어낚시를 다녀온 후, 컴퓨터 그랙픽작업
을 하고 있습니다.

작업도 중 휴식겸 유튜브 채널 구독을 눌러놓은
어느 크리에터분의 영상을 보고있습니다.

그분의 채널이름은
"김기사의 쉬운 전기 with 동이" 입니다.

아버지와 대를 이어서
전기공사업을 하시는 분이고
전기실무에 관한 책을 쓰신, 전기기술인이면서
유튜브크레이터로 왕성한 활동을 하시는 분입니다.

사진에 있는 밴차량은
다마스차량입니다..그 분 김기사님께서
역시 전기기술자인 아버지와 함께 전국을
누비면서 전기공사를 함께한 차량이라고 합니다.
부자지간에 저 차를 타고 오손도손
전기업무에 관한 대화를 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조금 더 큰 차를 구매 하시면서
중고매매상사에 다마스를 보내는
아쉬움이 담겨져 있는 스토리였습니다.

일전에 컴퓨터그래픽으로 작업을 해두었던
3D그래픽에, 소망전기 김기사님의 밴을
넣어서 2D로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소망전기"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구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2 years ago (edited) | [YT] | 69

김정곤 TV

* 전기진로를 생각 하시는 새내기 전기인 분들 참고 하세요 *

1. 구독자 질문 :
김정곤선생님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고민이 있어서 이렇게 댓글 답니다! 제가 현재25살이고 전기자격증 취득 후
전기설계하는곳에 취업을 하였습니다.
(설계를 하면 전기지식을 쌓고 눈이 트인?다고 생각 해서 입니다).
이제 입사 2달정도 되었는데 요즘. 이렇게 설계를 하게되면 전기지식, 법령등과
같이 사무?적인 것에는 경력이 쌓여도 현장경력(기술)은 못얻을 꺼 같아서 고민입니다..
대기업 공장공무(전기설비유지보수)쪽으로 가서 전기설비를 직접 수리하거나
유지보수하거나 현장 전기공사에가서 현장 기술을 배우는게 더 나은 선택일까요..?
아니면 설계를 하면서 현장을 최대한 많이보고 설계일을 하는게 좋을까요?
긴 글인데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2. 저의 생각 :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 하지 마시고,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설계를 직업으로 하게 되면, 실무에 정통 하기
힘든 게 사실이고, 현장에서 실무를 직업으로 삼게 되면,
이론을 제대로 알게 되기 힘듭니다.
구체적인 예기를 글로 적기에는
그 내용이 너무 방대 하네요.


25세에 먼저 설계를 시작 한 건
잘 한일이라고 봅니다.
근무를 하면서, 실무 전기유튜버 분들의 영상을
찾아서 시청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디딤돌공장장", "티비마이"등등 이런 분들의
영상을 꾸준하게 시청 하게 되면,
실무에 대한 공부도 될 뿐 아니라,
진로에 대한 방향도 보일 겁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
전기안전대행 하시는 분들도 만나보고,
아파트 시설관리를 하시는 분들도
음료수를 사서 방문 해보세요.
25세에 제대로 된 전기인의 진로를
잘 잡아야 하고,,그 방법중에 제일 좋은 방법은
전기공무원, 전기군무원, 전기안전관리자분등
무조건 만나서 의견을 여쭙고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기술,,그 것이 전기기술이라고
하더라도,,그 기술을 만들고, 운용 하는 사람은
결국은 사람이고 보니, 간절하게 미래를 생각한다면,
각 파트에서 근무하는 전기기술인을 직접 만나서
조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곁에서 응원 하겠습니다..



- 김정곤드림-

2 years ago | [YT] | 77

김정곤 TV

여러분 안녕 하십니까.
오늘은 예수님의 사랑이 온 지구에
함께 하는 크리스마스날입니다.

가족과 함께,
친지와 함께, 친구들과 함께 하는
건강하고 행복한 성탄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2 years ago | [Y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