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식은 여러분 그리고 여러분 자녀의 인생을 변화 시킵니다. 금융지식 유/무에 따라 부자, 중산층 서민 중 무엇이 되는지에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학교는 좋은 사업가를 양성하지 않습니다. 학교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서 그 회사의 주인을 부자로 만들어주는 좋은 피고용인이 될 수 있도록 가르칩니다. 부모도 자녀들에게 열심히 국,영,수를 공부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라고 가르칩니다.
학교나 부모가 여러분을 싫어해서 그렇게 가르치는것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고 열심히 저축하면 모두 집을 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돈을 버는 메타가 바뀌였으며, 구시대적인 교육만 받아서는 가난은 대물림되며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 금융지식은 말로 설명하기 힘들정도로 모두에게 중요하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더(The) 부자아빠
핵심 목적은 단 하나, 금리를 낮추는 것.
이유는 9조 달러의 부채를 리파이낸싱 해야 하기 때문.
높은 금리로는 불가능. 따라서 연준과 시장을 압박하고 있음.
흔들리지 마세요.
1 week ago | [YT] | 112
View 10 replies
더(The) 부자아빠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선언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 정책을 도입, 미국 증시 대폭락. 나스닥, 소형주, 월스트리트까지 충격. 약 2~5조 달러가 증발했다는 추정.
2.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중국 34%, 베트남 46%, EU 20% 등 공격적인 관세를 전 세계에 적용. 목표는 공급망 확보, 국내 생산 유도, 미국 우위 확보.
3. 단기적으로는 물가 상승, 무역 전쟁,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이 관세가 디플레이션 유발 → 금리 인하 → 부채 재조정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
4. 발표 직후 주식시장은 10% 하락(조정장)에 진입. 시장은 소프트랜딩을 기대했지만 현재는 불확실성과 공포로 인해 변동성이 커짐. 기업은 해고를 시작했고, 기업 단체는 정책 철회를 요구 중.
5. 미국 정부는 관세가 ‘상호적’이라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보다 훨씬 높음. 예: 중국은 미국 제품에 평균 6~10% 관세를 부과하는데, 미국은 중국 제품에 34% 부과.
6. 관세율 산정 공식은 매우 단순한 무역적자 기반 수치로 계산된 것으로 추정됨. 예를들어 미국-중국 무역적자를 수출로 나눠서 나온 수치를 반으로 줄여 관세율로 적용함.
7. 서비스 산업(관광, 교육, 금융 등)은 제외됨. 미국은 서비스 부문에서 흑자를 보고 있음에도 이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아 논란.
8.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이론: 관세는 미국 경제를 의도적으로 둔화시켜 연준(Fed)이 금리를 인하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일 수 있음. 이는 정부의 이자 부담을 줄이고 부채를 재조정하기에 유리한 환경을 만듦.
========================================================================
어떠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그냥 하던 대로 현생에 충실하며 흔들리지 않고 매달 꾸준히 투자했던 사람은 이번에도 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
1 month ago | [YT] | 115
View 7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