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푼젤을 꿈꾸는 남자의 취미와 일상


최성젤TV

제가 3수끝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급을 달성했습니다 3번의 시험 모두 합격은 했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1학년 당시 지필고사에 한해서는 국사가 과1위였습니다 실업계 학교였는데 다른 과목은 시험기간에 힌트 많이 주고 심지어 문제도 미리 알려주면서 문제난이도도 실업계 학생들 수준에 맞추는데 국사는 힌트도 별로 없고 문제난이도도 실업계가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이었습니다 그런 추억이 있어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도전을 해왔구요

4 months ago | [YT] | 3

최성젤TV

요즘 유행하는 크보빵을 구입했습니다

5 months ago (edited) | [YT] | 1

최성젤TV

2025년입니다 다들 복된 새해 되시길 바랍니다

9 months ago | [YT] | 2

최성젤TV

즐거운 성탄절 되시길 바랍니다

9 months ago | [YT] | 0

최성젤TV

오늘 국민체력 100 체력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제자리멀리뛰기기록이 저조해서 아쉽네요

9 months ago | [YT] | 0

최성젤TV

오늘은 연평도 포격전 14주년이 되는날입니다 연평도 포격전이 저에게 있어 인상깊은 이유는 제가 군대에서 제대한지 3일후에 벌어졌기 때문입니다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그런 일을 벌인 북한군이 이젠 불쌍하네요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북한은 한반도를 불법점거한 반국가단체로 해석이 되어 있는데 여러모로 보나 얼마 안있으면 붕괴될 듯 합니다

10 months ago (edited) | [YT] | 0

최성젤TV

제가 2010년 11월 20일에 군대에서 제대를 했는데 어느덧 제대 14주년이 되었습니다 2009년 1월13일 화요일에 306보충대에 입대하고 신교대는 9사단 신병교육대대에 배치를 받았고 자대는 9사단 포병부대였습니다 군생활을 너무 못하여 신교대시절부터 많이 혼나고 주변 병사들에게 피해끼친적 많았고 무시도 많이 당해봤는데 그래도 1년 10개월7일을 다 채우고 군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징병제인 대한민국에 태어난게 솔직히 힘들다고 느꼈으나 꼭 그렇게만 느낄게 아니었습니다 나중에 알고보니 제가 입대하기전부터 대한민국 재래식 군사력은 이미 북한을 압도하고 있었고 점점 그 격차는 커지고 있으며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병력을 파병한 북한은 여러면에서 붕괴직전이라고 여러 전문가들이 전망합니다 내무부조리 장병복지등도 북한에 비해서는 비교가 안될만큼 좋고 군대뿐아니라 경제력과 사회분위기 등 가난하고 억압적인 북한에 비해서는 정말 천국이니까요 한반도 휴전선 남쪽에 태어난게 여러면에서 감사할 일입니다

10 months ago | [YT] | 1

최성젤TV

제가 5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는 한문제 차이로 심화1급을 놓쳤는데 이번에 응시한 7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는 한문제 차이로 불합격을 면했네요 ㅋ

1 year ago | [YT] | 2

최성젤TV

고독 그게 그렇게 대수인가..

제가 '미리 슬슬 노후대책'이란 책을 읽으면서 발견한 문구입니다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라해도 상대방에게 한없이 의지만 할수 없고 상황에 따라서는 차라리 혼자가 편하다는 생각을 분명히 하게 됩니다 저역시 네이버밴드 채팅방이나 카톡으로 상대방을 힘들게 했던건 인정해야 겠으나 저한테 배려나 옳고 그름을 가르치려는 사람들이 정작 자기들은 자기 내키는대로 더군요
제가 지금 경제적으로 독립을 못하고 있고 부모님과 같이 사는데 인맥은 별로 없습니다 친가족 장례식이나 결혼식때 초대할 개인적인 인맥은 단 한명도 없었고 초등학교 땐 그래도 친하게 지낸 사람들은 몇명 있었으나 중고등학교 땐 학교밖에서 사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이 단 한명도 없었고 대학교 때 역시 아웃사이더였으며 군생활 때 '넌 도닦는 사람 같다'라고 하는 선임들도 있었습니다 물론 연애한적 단 한번도 없습니다
지난 세월동안 아웃사이더로 산것과 앞으로 인생살면서 맞부딪치게 될 고립은 다르겠으나 고독 역시 늙음과 마찬가지로 어차피 피하지못할 것이므로 긍정적으로 맞이할 자신 있습니다 오히려 전 친구 별로 없이 살아왔기에 어느 정도는 단련이 되어 있다고 자부하니까요

1 year ago (edited) | [YT] | 3

최성젤TV

검정고시에 대한 저의 소신

한국이 예전에 비해서는 지연 학연을 지향하는 문화는 퇴보하고 서구의 개인주의적인 문화가 강해졌습니다 공교육제도에 대해서도 검정고시를 하겠다는건 사회에서 낙오하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는 인식은 옛말이고 어차피 자기 인생사는것이니 학교를 다니든 검정고시를 하든 본인이 선택할 문제다란 인식이구요
전 중고등학교 시절만 해도 검정고시선택에 대해 본인의 선택권보다 부모님이나 주변분들의 의사나 인식이 더 강해서 검정고시를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제 학교시절을 돌이켜보면 저때는 끼리끼리 엮이고 심지어 같은반끼리 서로 분열하고 감시하는듯 한 모습이 있었습니다 전 저대로 겉돌았고 중간에 학년이 1년 늦기도 했습니다 제 세대때부터 복잡하게 엮이지 않고 혼자겉돌거나 끼리끼리 엮이는 문화가 생기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 이전 세대들까지는 같은 학교 같은반에 속한것에 대한 자부심이 굉장했고 심지어 부모님세대들은 다른 학교 학생들과도 교류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회에 나가면 검정고시출신보다 학교를 다닌 사람들에게 더 좋은 인식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검정고시보다 공교육제도가 더 좋다는 의견을 저한테 심어주려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전 그렇습니다 검정고시는 투명하면서도 문제 난이도도 정말 쉬우며 수행평가도 없으니 여러면에서 공교육제도보다 편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자기가 자기인생사는것이니 학교를 다니든 검정고시를 하든 본인이 선택할 문제라고 봅니다 그리고 검정고시 출신에 대해 편견을 가진 일터나 직장이 있다면 그곳과는 안맞는곳이니 다른 직장이나 일터를 찾으면 된다고 봅니다 더구나 한국은 검정고시를 법적으로 금지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개인주의 문화가 강한 유럽의 일부 국가들이 법적으로 홈스쿨링을 금지한다고 합니다 사람을 만나는데 있어서도 꼭 공교육제도가 아니더라도 검정고시를 하면서 다른 방법으로도 사람은 사귈수 있습니다

1 year ago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