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범티비 INBUMTV

벅스코인 창시자 코인선물 유튜버 인범. The founder of Bugscoin and cryptocurrency youtuber INBUM. #주식 #코인선물 #비트코인


인범티비 INBUMTV

벅스코인 창립자, BTC 84k 가능성 발언 5일만에 90k 하회..

벅스코인 창립자 인범은 개인 X(구 트위터) ‘Crazy INBUM' 통해 11월14일 “비트코인이 84k과 이더리움 $2,400을 향해가고 있다“ 고 조정장 가능성 발언후 5일만에 90k를 하회했다.

coinness.com/news/1143471

3 hours ago | [YT] | 111

인범티비 INBUMTV

벅스코인 창립자 인범, BGSC 와 ADEN 합병 소문에 “아직 결정된 것 없어”

최근 Gate Ventures가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ADEN을 인수하고 TGE 를 앞둔 상황에서, 벅스코인(BGSC)과 ADEN의 합병 가능성에 대한 소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인범은 “벅스코인이 GateVentures 측에 BGSC와 ADEN의 합병을 제안한건 사실이나 아직 어떠한 것도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인범은 “벅스코인은 중앙거래소 매출 기반의 레퍼럴 생태계 프로젝트이며, ADEN은 탈중앙화 거래소(DEX) 기반의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으로 토큰 합병시 긍정적인 요소” 라고 설명했다.

한편 ADEN 토큰 TGE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TGE 일정은 Gate Ventures 측에서 결정할 사안이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라고 답변했다.

뉴스 원문 coinness.com/news/1143391

20 hours ago (edited) | [YT] | 150

인범티비 INBUMTV

11월9일 Live 에서 말한 원달러 환율 차트ㅋㅋ
지금 어떻게 됐을까?

원달러 빗각 채널 보기 x.com/crazy_inbum/status/1990312702724743582?s=46

남 돈 버는 꼴은 못보는 거지 사이버 렉카 종특 나오네 ㅋㅋ 집행유예 기간에 또 깜빵 갈래? 배 아파서 개 돼지마냥 퍼드 퍼트려도 기스 하나 안나는 이유ㅋㅋㅋ 더 짖어봐!

내가 바로 바누아투 트레이더다.
돈 안든다 그냥 배워!

1 day ago (edited) | [YT] | 120

인범티비 INBUMTV

Gate Ventures 최고사업책임자 CBO Kevin Lee 는 76세 아버지와 달리기를 하며 건강 관리를 한다고 밝히며 퍼드에 적극 대응한다고 말했습니다.😛

Kevin Lee X x.com/kevinlee_gate/status/1989984868814754145?s=4…

1 day ago | [YT] | 110

인범티비 INBUMTV

11월15일 작성한 이더리움 뷰
팔로워 하면 실시간 포지션 공유.
인범 공식 트위터 x.com/crazy_inbum/status/1989587865651875988?s=46

2 days ago | [YT] | 247

인범티비 INBUMTV

벅스코인 설립자 인범 "탈중앙화 시장이 중앙화 거래소 위협 할 것"

벅스코인 창립자 인범은 최근 글로벌 3위 탈중앙화 거래소 'ADEN' 을 게이트벤처스에 매각 후 탈중앙화 시장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인범은 "최근 3개월동안 하이퍼리퀴드에 이어 ASTER, Lighter, EdgeX 등 메이저 DEX 거래소들이 런칭되고 엄청난 거래량을 일으키고 있다. 이 현상들은 암호화폐의 본질인 탈중앙화에 목마른 시장 참여자들이 만든 결과이다. 또한 규제가 까다로운 CEX 에 비해 DEX 탈중앙화 거래소 특성상 컨트랙트로 운영되어 규제법에 적용 받지 않기 때문에 유동성이 DEX 에 몰리고 있는 것" 라고 말했다.

과거 2024년 2월, 시민단체가 위메이드의 Phoenix DEX 가 미신고 VASP에 해당한다는 전제로 자금세탁방지법(AML) 위반 혐의로 형사고발을 하여 조사가 진행 됐지만 이후 기소까지 이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 는 지금까지 DEX 거래소에 대해 VASP 규제를 집행 사례가 없고, 최신 공개된 VASP 현황 보고서에서도 DeFi 서비스는 VASP 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힌바 있다.

기사 원문 coinness.com/community/opinion/9591

3 days ago (edited) | [YT] | 166

인범티비 INBUMTV

탈중앙화 거래소 ADEN, VASP 범위에서 제외..한국어 서비스 재게
기사 원문 coinness.com/news/1143252

글로벌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3위 ADEN 이 중단했던 한국어 지원을 재게한다고 밝혔다.

관계자에 따르면 “아스터, 하이퍼리퀴드 등 KoFIU 에서 어떤 DEX에 대해서도 제재를 하지 않고 있으며, 공식 문서에서도 DEX 를 VASP 범위에서 제외하는 취지를 밝혔던 검토 결과를 받아 한국어 지원을 재게한다” 라고 말했다.

한편 “아직 탈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규제나 가이드라인 자체가 존재하지 않지만 추후 규제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가 나온다면 맞춰 나갈 것” 라고 덧붙혔다.

3 days ago (edited) | [YT] | 203

인범티비 INBUMTV

벅스코인 창립자 인범은 미국 주식·암호화폐 포지션 및 차트 분석을 실시간으로 공개하며 글로벌 투자자들과 직접 소통을 위해 X(트위터)에 개인 공식 계정 ‘크레이지 인범(Crazy Inbum)’ 을 개설했다. '크레이지 인범' 공식 트위터 x.com/Crazy_INBUM

3 days ago (edited) | [YT] | 315

인범티비 INBUMTV

어디에서도 듣지 못하는 업계에 있는 사람이 암호화폐 시장 현재 상황을 말해준다.
이 글은 오직 내 개인 채널에 올릴 수 있는 내용이다.

결론만 얘기하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미국에서 밀고 있는 메이저 알트코인을 제외하고 이번 암호화폐 시장 시즌은 끝났다.

시장 참여자들이 돈이 없다. 말랐다.

메이저 코인 제외하고 알트들 대부분 태초마을이고 시체가 널부러져 있다.

생태계 멀쩡한 알트코인들도 5토막,10토막. 알트 대장 트럼프 재단 코인도 10토막 나있고 50토막 난것도 허다하다.

시체가 처리되고 새로운 신규 매수자가 들어와서 손바뀜이 되려면 시장에 돈이 넘쳐야 하는데 가망없다.

중앙거래소 암호화폐 선물 거래량 반토막 수준까지 났고 중국 (CN) 쪽 선물 거래량도 반토막 수준까지 났다.

최근 변동성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

중앙거래소 고객 예치금도 줄고만 있고 늘어나지 않는다.

데이터는 거짓말 안한다.

설령 돈이 시장에 들어온다고 해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그리고 미국이 밀고 있는 메이저 코인들만 돈이 몰릴거다.

레퍼럴 수익으로 돌아가는 재단을 운영중이기 때문에 거래소 거래량과 고객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보고 있고 업계 사람들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보고 있으면 시장에 돈이 들어올때까지는 답 없다.

알트코인 개수가 많다보니 돈이 분산된다.

코인게코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알트코인 개수는 700먄개에 달하고 매년 200만개 이상 프로젝트가 없어진다.

시장에 유입되는 돈은 정해져 있는데 살 수 있는 물건의 개수가 무한정 생기기 때문에 유동성이 흩어지면서 알트코인 시장에는 더더욱 부정적인 영향이 작용한다.

아무튼 결론만 말하면 알트 불장은 오지 않는다.

그나마 재단이 운영으로 버는 돈이 있다면 시장에서 자사 토큰을 매수하여 그나마 버티겠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을거다.

시장 심리가 좋지 않으면 일반 투자자들은 재단이 시장에서 매수할때 팔고 나갈 생각만 하기 때문이다.

그럼 알트코인 시장은 언제 반등할까?

사람들이 지치고 또 지치고 침 뱉고 시장가로 손절 하는 사람이 많으면 반등이 빠르다.

너무 냉정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게 현실이다.

당신이 어떤 코인에 물렸다면 누군가가 당신이 물린 코인을 사줘야 탈출 하고, 누군가에게 비싸게 팔아야 내가 이득을 본다.

10배 20배를 꿈꾸고 매수 했다면 원금의 20토막 나는것도 감수해라.

싫다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미국에서 밀어주는 코인만 사라.

솔직히 재단 운영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투자자랑 느끼는건 다르겠지만 ㅈ같다.

해외 대형 거래소에 상장을 누군 빌드업도 없이 출시하자마자 쉽게 하고 누군 오랜 기간 빌드업 잘해서 정상적인 생태계를 운영해도 상장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결국 카르텔 안에 끼지 못하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올라갈 수 없다는걸 깨달았다.

각자 전쟁에서 살아 남아라.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다.

화이팅

집이 아니라 호텔 생활만 하다보니 Live 대신 이걸로 대신하는듯 함..

4 days ago (edited) | [YT] | 4,050

인범티비 INBUMTV

인범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메일과 댓글로 한국에서 납세 의무가 없는 '세법상 비거주자' 가 되는 것에 대하여 많이 궁금해 하시고, 이민을 진지하게 고민 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 글로 좀 남기겠습니다.

(다음주 주중 집에 돌아가면 가독성 있게 잘 정리해서 보여드릴 공개할 예정)

한국에서 소득세 최대 세율 50%는 그렇다고 쳐도, 지킬 자산이 있고 자식이 있는 사람들 대부분 고민거리가 상속세 때문에 민감할겁니다.

내가 100을 벌어서 자식에게 주려면 최대 세율 50%에 건강 보험료 부터 각종 추가 세금과 상속세 최대 50%까지 감안했을때 75 이상 뜯기고 25정도 남습니다.

내가 일궈낸걸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똑같고 인간의 본능 입니다.

이것뿐만 아닙니다.

한국이라는 국가가 운영에 필요한 세수를 상위 10%가 책임지고 있죠.

그럼 많은 세금을 내는 납세자들에게 표창장을 줘도 모자랄 판에 국세청은 어떻게든 “얘가 뭐 덜 낸게 있나?” “더 뜯을거 없나?” 생각 합니다.

즉 세금을 내고 또 내도 인간이 할 수 있는 실수 꼬투리 작은거라도 잡아서 더 빼앗아 가려고 하는 것에 치를 떨게 되는거죠.

많은 사람들이 이미 한국에서 태어나 터전을 잡고 가족이 있으니 속으론 열불나도 참고 그냥 한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하지만 요새는 정보가 너무 발달이 되어 있어서 많은 한국 사람들이 가족 모두 소득세, 증여세 없는 국가로 이민을 가서 자산 증식을 해놓고 다시 한국에 돌아가는 방식을 택합니다.

✅ 저 같은 경우는 해외 시민권을 취득하여 한국 국적을 포기했지만, 일반인들 같은 경우 국적 포기까지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바누아투, 터키 등 2억정도 주면 3개월~6개월만에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고 해당 국가에 거주 의무도 존재하지 않지만,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살아가고 싶은 분들 입장에서는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죠.

특히 한국인이 해외 시민권을 취득하는 순간 ⚠️ 「국적법」 제15조 제1항에 따라 해외 시민권 취득날로부터 국적 상실되고 대법원 2004두10906 판례에 따라 행정 처리 기간과 상관없이 국적 상실은 외국 국적 취득시에 바로 효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돌이킬 수 없어 신중히 생각해야 합니다.

저는 올해 초에 시민권 취득을 준비해서 취득까지 한 2~3개월 걸렸고 치안 좋은 국가에 골든비자와 영주권을 얻는데 6개월 정도 걸렸네요.

✅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납세 의무를 없애려면 오로지 ‘세법상 비거주자’ 되는 것이 핵심 입니다.

대한민국 세법(소득세법)에서 비거주자란, 한국에 주소(생활 근거지)가 없고, 한국에 183일 이상 거주하지 않는걸 말합니다.

즉 주소 요건 + 거소(체류) 요건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이 기준에 적합하면 해외 소득(근로,이자,배당,양도소득), 종합소득세, 금융소득 등 모든 납세 의무가 사라 집니다. (한국 원천소득 제외)

✅ 세법상 비거주자 되기 위해선 여러 요건들이 있지만 결국 아래 2가지 입니다.

1. 해외에 6개월 이상 체류
2. 직업, 사업 등 기본 생활 여건들이 모두 해외에 있어야함

결국 ‘실질’ 을 본다는 얘기 입니다.

“실제로 이 사람은 세법상 비거주자로서 모든 근거지가 해외에 있고 한국에 없는지?” 을 가지고 판단 합니다.

✅ 그럼 현실적으로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방식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한국 국적을 유지하면서 ‘세법상 비거주자’ 를 활용한 납세 의무만 합법적으로 피하고, 증여세 소득세 상속세 없는 국가에서 자산을 증식한 뒤에 한국에 돌아가서 여생을 편안하게 보내는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출근을 꼭 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세법상 비거주자’ 가 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해외에 나가 있는 한국인들 대부분은 인터넷을 활용하는 사업을 하거나, 전문직 , 기술직 들이 가족 구성원 모두 해외로 나가서 ‘세법상 비거주자’ 로 돈을 벌고 있습니다.

이미 상속세, 증여세, 소득세가 없는 국가에서 돈을 벌다 보니 자산 증식이 빠르게 되서 경제적 자유를 빨리 달성하고 남은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려고 합니다.

소득 세율이 낮고 증여, 상속세 없는 싱가포르 또는 소득세,증여세,상속세 등 어떤 이득에도 세금이 없는 두바이를 많이 갑니다. 두 국가 모두 치안이 한국보다 좋기 때문입니다.

아주 똑똑한거죠.

월급 600만원을 받아도 세금 1원 한푼 내지 않고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고, 합법적으로 내 자식에게 증여 상속하는데도 문제가 전혀 없어서 상속,증여 할거 다 모두 끝내놓고 한국에 돌아가면 문제가 없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한국이 가장 안전하고, 살기 좋다라고 하는데 우물안 개구리 얘기입니다.

만약 이 내용이 "나랑 전혀 상관없네. 어쩌라고"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평생 쳇바퀴 도는 삶에서 벗어날 생각조차 하지 않고 더 나은 미래와 경제적 자유를 꿈꾸지 않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쓰다 보니 길어졌네요. 집에 돌아가면 방송에서 썰 풀겠습니다.

5 days ago (edited) | [YT] |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