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배거

여러분 잘 지내고 계시죠? 다니머의 소식은 크게 나온게 없네요.
주식 보유 현황은 전혀 변함없이 전량 보유하고 있습니다.

PHA 기사 하나 공유 드립니다.

한국 & 미국 기사들을 찾아보면 화학을 하는 회사들 대부분이 바이오플라스틱과 같은 화이트바이오에
관심이 많고 차세대 먹거리로 보고 있습니다.

www.mk.co.kr/news/it/view/2022/03/210432



하지만 정제 과정에서 난관이 발생했다. 발효를 통해 미생물(대장균) 체내에 PHA가 만들어졌지만 미생물이 몸 안에 숨겨놓은 PHA를 꺼내 제품화하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공정 중에 PHA가 거대한 덩어리로 뭉쳐, 탱크 안으로 톱을 들고 들어가 PHA 덩어리를 분해해야만 했던 적도 있었다. 연구팀은 미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해 미생물의 상태에 맞는 추출 조건을 적용하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품질 제어가 가능해졌다.

위에 기사에도 나와있듯이 미생물로 폴리머를 생산하는게 참 어려운 기술이라 계속 강조했듯이
1) 양산 성공 2) 수익성 창출 가능
위의 2가지를 달성하는게 중요합니다. CJ제일제당도 성공하고 다니머도 성공을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years ago | [Y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