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
1. 물질과 의식(참된 철학의 기초1)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
9:48
2. 물질의 운동성(참된 철학의 기초2)
7:16
3. 변증법에서 개념과 속성(참된 철학의 기초3)
12:29
4. 변증법의 3원리(참된 철학의 기초4)
11:41
5. 관념론 신과 종교의 탄생(참된 철학의 기초5)
3:38
6. 쌍개념(추상 보편 일반 종합)(참된 철학의 기초6)
9:36
7. 상호연관(감각과 이성, 상대와 절대)(참된 철학의 기초7)
13:58
8. 상호연관(원인과 결과, 내용과 형식)(참된 철학의 기초8)
13:54
9. 상호연관(목표와 수단, 분석과 종합, 실험과 실천, 필연과 우연)(참된 철학의 기초9)
10:29
10. 상호연관(삶과 죽음, 낙관과 비관, 보수와 진보, 진선미) (참된 철학의 기초10)
16:56
11. 고대유물론과 변증법(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
10:10
12. 맑스의 박사논문(원자론)(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2)
21:13
13.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3)
27:05
14. 소크라테스의 생애(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4)
28:54
15. 소크라테스의 관념론(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5)
14:32
16. 플라톤의 국가론(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6)
13:41
17. 플라톤의 엘리트정치(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7)
9:05
18. 플라톤의 교육관(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8)
12:54
19. 플라톤의 이데아(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9)
19:38
20.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데아 비판(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0)
8:30
21. 기독교(유대민족의 방랑 역사)(관념론과 유물론의 투11)
14:27
22. 구약성경의 형성(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2)
17:28
23. 유대교와 이스라엘의 건국(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3)
12:27
24. 예수의 생애와 기독교의 탄생(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4)
13:00
25. 원시 기독교의 공산주의 맹아(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15)
21:01
26. 다양한 관념론의 전개과정(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1)
30:15
27. 칸드에서 헤겔로(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2)
11:46
28. 헤겔의 법철학(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3)
32:40
29. 헤겔의 소논리학(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4)
11:04
30. 홉스의 흠정계약(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5)
17:21
31. 로크의 시민계약(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6)
30:05
32. 몽테스키외와 루소의 사회계약(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7)
14:50
33. 사회계약의 정치학(관념론과 부르주아 철학8)
34. 철학이란 무엇인가?(과학적 세계관의 발전1)
14:48
35. 우주관과 질량에너지 등가(과학적 세계관의 발전2)
5:22
36. 모택동의 모순론과 실천론(과학적 세계관의 발전3)
24:22
37. 주체철학과 변증법적 유물론(과학적 세계관의 발전4)
8:36
38. 주관적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과학적 세계관의 발전5)
6:34
39. 형식논리학과 형이상학(과학적 세계관의 발전6)
8:38
42. 결론 : 마르크스 문헌을 현재 이론 및 실천에 적용하기(부엉이는 황혼녘에 날개를 편다)
37:02
1. 철학의 정의 근본문제(철학강의)
1:02:05
2 유물론과 관념론의 종류(철학 강의)
47:20
3. 현상은 본질을 어느 정도 반영하나?(철학강의)
1:03:59
4. 사회구성체의 개념과 속성의 구별 : 제국주의. 국가자본주의(철학강의)
1:02:20
5. 상호연관성. 내용과 형식. 상대적 법칙과 절대적 법칙(철학강의)
41:29
6. 상호연관성. 개체의 죽음은 종의 청춘(철학강의)
1:16:28
7. 형식논리학과 변증법적 대화술의 비교
43:36
8.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변증법
1:14:19
9. 한비의 모순((혹자 대화술. 조삼모사. 수주대토, 각주구검)
41:53
10. 모택동의 모순론과 실천(적대적 모순. 주요모순, 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1:11:38
11. 양질전환의 법칙(양적 모순,. 임계치. 승화. 상태변화. 전기분해. 핵분열)
58:26
12. 대립물의 투쟁과 통일의 법칙
45:42
13. 연속과 불연속. 균형과 불안. 주체 내 모순과 정세적 모순
44:17
14. 사회변혁과 협동조합, 과도기 논쟁(PT독재 종식 여부)
1:10:05
15. 부정의 부정의 법칙(정반합. 종합. 지양. 즉자와 대자 및 즉자대자. 계승과 혁신)
1:03:24
16. 주체철학의 변증법적 유물론(맑스레닌주의와 비교)
46:49
17. 주체의 변증법(발전의 원동력. 양질의 정의)
1:00:07
18. 주체의 생활력. 운동법칙에 대한 지배. 자연개조와 사회개조 및 인간개조
1:03:23
19.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속성
1:06:38
20. 맑스주의와 종교 토테미즘에서 종교로 발전
48:18
21. 제도로서 종교의 성립 : 헤겔 포이에르바흐 맑스
58:49
22. 맑스주의의 종교에 대한 비판
48:25
23. 사회주의혁명 이후의 종교
1:03:47
24. 기독교사회주의(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
1:04:40
25.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종교(기독교 관련성.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 )
46:00
26. 유대민족과 구약성경의 형성(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
1:00:09
27. 성경과 예수에 대한 진실 논쟁(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
52:28
29. 소크라테스에 관한 불편한 진실(반동의 원조) 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
42:12
28. 현대 물리학 못지 않은 고대 원자론자의 유물론과 변증법(결의와 실천을 다지는 철학)